70년대 중반 이후 급격한 경제성장은 산업화와 도시팽창의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통행량과 차량 보유대수가 증가하게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심각한 교통난을 빚고 있다.교통난은 이제 도시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지역간 교통에도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로의 증설등 도로용량을 확충하여야 하나 재원의 제약으로 인해 실현이 불가능하다. 이같은 상황에서 기존도로의 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신기술을 교통에 접목시킨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이 등장하게 되었다. ITS를 도입하면 교통체증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도 혁신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일본 미국 유럽국가 등 선진국의 경우에는 이미 80년대 중반부터 ITS와 관련한 연구 개발이 착실히 추진되어 일부 시스템은 현재 상용화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일본의 차량정보 통신시스템(VICS)이다. VICS는 첨단통신과 전자 전기기술이 복합된 차량주행안내 시스템으로서 차량주행에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를 차량내에 설치된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정보의 내용은 목적지까지의 최단시간경로와 교통사고 정보, 체증구간 정보등이다.
90년대 초반부터 국내에서도 지능형 교통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했다. 지능형 교통시스템과 관련한 최초의 프로젝트는 고속도로 교통관리 시스템으로서 92년부터 구축사업을 시작하여 95년 시범운영을 마친 상태다. 94년에는 ITS 국가기본계획 구축사업이 추진되어 96년 8월 최종안을 마련했다.
정부는 이를 근거로 경기 과천시에서 ITS 시범운영에 착수하게 됐다. 과천지역을 대상으로 추진중인 이 사업은 주행안내시스템을 비롯하여 대중교통 이용자정보 시스템, 동화상정보 제공시스템, 주차안내 시스템 구축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이 종합적 ITS 시범운영사업은 기술적 측면에서 선진국과 비교하여도 불과 5∼8년 정도밖에 뒤지지 않는다.
ITS를 통한 교통체증 해소 및 교통사고 예방은 제어기술과 정보시스템 구축으로 실현될 수 있다. 현단계의 기술 수준으로 보아 제어기술보다는 정보시스템의 구축이 더 현실적인 접근방법이다. 교통정보전달 혹은 제공에 있어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 통신부문이다.
기존의 통신망은 유·무선으로 분류되며, 무선통신방식은 다시 디지털과 아날로그방식으로 세분될 수 있다. 통신부문의 결정에 앞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데이터의 송수신량, 비용, 단말기 비용, 용량, 방향성, 서비스면적등이다.
정보시스템의 구체적 구축방안은 첫단계로 어떤 종류의 정보를 제공할 것인가이다. 이후 수집될 자료와 자료수집방법, 자료처리방법 등을 결정해야 하며 사용할 통신망과 정보전달의 수단 및 장소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이 과정을 체계적으로 진행시켜야 행정적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교통개발연구원 책임연구원>교통개발연구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