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계가 암중모색의 깊은 호홉 고르기에 들어갔다. 그렇다고 마냥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굳이 표현하자면 「정중동」이다.민주계의 양대 핵심인 최형우 고문과 김덕룡 정무장관은 최근 원로그룹에서 소장파에 이르기까지 민주계 전반과 꾸준한 개별접촉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고문과 김장관은 서로 세결집 경쟁을 하기보다 민주계가 일단은 응집된 힘을 보일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홍인길 의원의 「온산(최고문의 아호)과 DR(김장관의 약칭)에게 줄서지 말라」는 발언 파문 이후 마치 민주계에 금방이라도 큰 사단이 생길 것 같은 분위기가 팽배하자 서둘러 민주계 아우르기 작업에 나서게 됐다는 것이다.
최고문과 김장관측은 『민주계 단합이란 대원칙에 대해선 전반적인 인식의 공유가 이루어진 상태』라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방법의 문제에 들어가면 다채로운 각론과 이견이 도출되고 있는게 사실이다. 최고문과 김장관측도 이점에 대해선 굳이 부인하려 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요즘들어 부쩍 소장파를 중심으로 폭넓게 번지고 있는 「민주계 무망론」또는 「민주계 양보론」이 양진영에겐 목에 걸린 가시와 같은 존재다.
최근의 정국흐름뿐 아니라 향후의 경쟁구도로 미루어 본선에서의 당선가능성이 대권후보의 유일무이한 「낙점기준」이 될 수 밖에 없고, 이 점에 있어선 민주계가 바라볼 게 없다는 시각은 소장파 일각의 주장으로 치부하기엔 워낙 파괴력이 크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당의 중진 원로들 사이에 알게 모르게 퍼져있는 거부감도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는 형편이다. 민주계의 암중모색 작업은 그리 평탄 할 것 같지 않다.<홍희곤 기자>홍희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