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 미군포로 생존설 또 고개/아이젠하워 대화록 메모서 910명 증발 기록/결정적 증거는 없어… 미 정부서도 계속 부인11월 대선을 앞두고 재향군인들의 표를 의식한 미 공화당 일부 의원들이 주도한 청문회를 계기로 한국전 실종미군의 북한 억류설이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이 과정에서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미정부문서가 새로 공개되고 미군포로 생존설을 주장하는 증인들이 증언대에서 행정부의 미온적인 대응을 성토하고 있다. 그러나 수차례의 청문회에도 불구하고 미군포로의 생존설을 뒷받침할 만한 결정적인 증거는 아직까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생존설 주장
실종미군 가족과 재향군인 단체 및 일부 의원들이 주장하고 있는 미군포로 생존설은 대개 행정부의 「음모설」에 근거해 있다. 행정부가 정치적인 이유로 미군포로의 생존 확인과 귀환 작업에 소극적이라는 주장이다.
17일 하원 국가안보위 실종미군 청문회를 주도한 로버트 도넌의원측도 이같은 주장을 되풀이했다. 이들은 실종미군 문제를 언급한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전대통령과 로버트 스티븐스 당시 육군장관과의 대화록을 「정황 증거」로 제시하면서 아이젠하워가 미군포로의 억류사실을 알고 있었으면서도 중·소와의 핵전쟁 가능성을 우려해 소극적으로 대처했다고 주장했다.
도넌 의원측이 최근 아이젠하워 대통령 도서관에서 발굴한 53년 12월22일자 대화록 메모에 따르면 스티븐스는 아이젠하워와의 전화통화에서 한국전 포로교환이 시작되기 수주전 육군 610명, 공군 300여명 등 910여명의 미군이 북한내 포로수용소에서「증발」했다고 보고했다.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보좌관을 지낸 필립 코르소 예비역대령도 이날 증언에서 「최소 900여명, 최대 1,200여명」의 미군포로가 기차에 실려 구소련으로 강제 이송됐다고 주장했으나 구체적인 증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미 행정부 입장
한국전 당시 행방불명된 미군은 모두 8,177명이다. 미국방부는 이들중 389명을 전쟁포로(POW)로 분류하고 있으나 거의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북한내 미군포로 생존설을 추적중인 미정보당국은 간헐적인 POW 목격설에도 불구하고 『북한에 억류중인 미군포로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앨런 리오타 국방부 실종미군 및 전쟁포로담당 부국장은 이날 청문회 증언을 통해 북한내 생존미군 목격설을 여러 통로로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대부분의 목격담이 전문이거나 60년대 자진 월북한 미군들을 POW로 착각한 증언을 되풀이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고 말했다.<워싱턴=이상석 특파원>워싱턴=이상석>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