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가 드디어 「마약」으로 자리매김 됐다.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담배를 마약으로 공식 선언했다. 미국에선 적어도 담배는 아편과 같은 대우를 받게 됐다. 이번 선언은 담배의 판매는 물론 각국의 담배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우리도 흡연문제를 진지하게 다시 검토할 때가 됐다.담배유해론은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다. 담배의 4천7백여가지 화학물질 중 발암물질만도 타르 니코틴 등 42가지나 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94년 담배와 관련된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가 현재의 3백만명에서 2025년엔 1천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우리도 연간 3만명이 흡연으로 인해 사망하고 있다.
이 때문에 미식품의약국(FDA)은 이미 니코틴을 마약류로 분류한 바 있다. 미국 담배업계는 클린턴의 선언이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나온 정치적인 결정이라고 반발이 만만치 않다. 그러나 클린턴의 선언은 담배의 유해론을 뒷받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담배가 이처럼 마약으로 선언되기에 이르렀는데도 우리나라의 흡연인구는 줄지 않고 있다. 성인남자의 70%, 여성의 3∼4%, 청소년의 40%가 담배를 피우는 「흡연대국」이다. 흡연자가 청소년과 여성을 중심으로 인구증가율의 2배의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데 문제의 어려움과 심각함이 있다.
한국이 세계 유명담배회사들의 주요시장이 되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미국의 담배회사를 비롯, 일본까지 여기에 가세해 94년 12월 이후 시장점유율이 10%를 넘고 있다. 다행히 7월엔 9.1%로 떨어졌지만 담뱃값 인상 등에 의한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여진다.
정부도 금연구역제도를 마련하는 등 담배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려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그 실효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아직도 담배인삼공사의 민영화조차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가 담배란 「마약」장사를 하면서 금연정책의 성과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이런 상황에선 외국담배의 판매공세를 막을 명분도 없다. 클린턴의 선언으로 미국내 입지가 좁아진 미담배회사들이 외국에서 활로를 찾을 것이 뻔하다. 그렇지 않아도 한국은 불평등한 한미담배양해록 때문에 미국담배의 진출에 거의 손을 쓰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담배는 마약」이란 흐름이 대세가 될 것이다. 우리도 이러한 인식에 발을 맞춰 담배자판기의 금지, 청소년 교육강화 등 보다 구체적이고도 강력한 금연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미국도 클린턴 대통령의 「담배는 마약」이란 선언의 큰 뜻을 살리기 위해서라도 더 이상 담배를 해외에 떠넘기는 이중적인 자세를 버려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