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유고 양대세력 “공존의 길”/오랜 반목·동슬라보니아 반환 등 난제 첩첩7일 외교관계를 수립하기로 합의한 세르비아공과 크로아티아공은 인근 보스니아 내전 당사자 못지 않게 뿌리깊게 반목해온 앙숙이었다. 91년 4월 유고연방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한 크로아티아는 자국 영토 안팎에서 세르비아와 대립해왔다. 안으로는 크로아티아내 세르비아계를 지원하는 세르비아와 맞서는 한편 밖으로는 보스니아에서 자민족을 지원하며 역시 세르비아계를 지원한 세르비아공과 치열한 대결을 벌여야 했다.
팽팽했던 양측의 대립구도에 변화가 모색된 것은 지난해 4월부터. 크로아티아가 대공세에 돌입, 영내 세르비아계 거점인 서슬라보니아와 크라이나를 차례로 점령함으로써 세르비아공의 영향력을 차단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이런 배경하에 지난해 11월17일 구유고 당사자들간에 보스니아 내전을 해결하기 위한 데이턴 협정이 체결되자 크로아티아공과 세르비아공도 관계 정상화 원칙에 합의했다.
양측은 이후 지난해말 전화선을 부분 복구한 데 이어 올초 외무장관 상호방문을 통해 ▲연락사무소 개설 ▲고속도로 개통 ▲송유관 복구를 내용으로 한 쌍무협정을 체결하는 등 관계정상화를 위한 절차를 단계적으로 밟았다.
그리고 프란요 투지만 크로아티아 대통령과 슬로보단 밀로세비치 세르비아 대통령이 7일 그리스에서 가진 정상회담을 통해 이달말까지 전면 외교관계를 수립키로 합의한 것이다. 양측 관계정상화 원칙합의 이후 8개월만의 마라톤 협상끝에 맺은 결실이다. 구 유고연방의 양대세력이 본격적인 공존의 길로 접어들게 된 셈이다.
하지만 양국 외교 수립은 상호관계 호전에 따른 화학적 융합이라기 보다는 라이벌 민족에 대한 견제 및 감시 필요성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유력하다.
양국이 향후 극복해야할 난제도 만만치않다. 우선 내년 크로아티아정부에 반환될 동슬라보니아지역에 거주하는 세르비아계 주민들의 지위문제와 크로아티아 최남단 군사요충인 프레브라카관의 영토귀속문제가 현안으로 남아있다.
특히 동슬라보니아는 89년 한해 230만톤의 석유를 생산하고 22억㎥의 가스를 생산했을 정도로 부존자원이 풍부한데 세르비아계 주민들이 자치를 고집하고 있어 양국 관계 진전에 최대 걸림돌로 부상할 공산이 크다.
그러나 6일 보스니아내 모스타르시의 통합 합의에 이어 하루만에 발표된 크로아티아공과 세르비아공의 외교수립 방침은 구유고 평화의 역사적 이정표가 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 시각이다.<이상원 기자>이상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