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유물 시대별 「성분지도」 만든다/구조·제작연대·기법·산지 등 상세 분석 DB화/2006년까지 160억 투입 유물 재질따라 4단계로문체부는 지난달 26일 가짜 귀함별황자총통사건을 계기로 문화재 감식방법을 과학화하기 위해 모든 고고유물의 성분을 분석, 데이터베이스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문체부의 이같은 방침은 육안이나 경험등에 의한 감정만으로는 갈수록 정밀해지는 위조기술을 규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문화재의 과학적 분석 10개년 연구계획안」을 마련, 고고학과 첨단과학을 접목시켜 감정대상이 되는 모든 고고유물의 성분을 4단계로 나누어 분석키로 했다. 이 사업은 사람의 유전자지도를 그려내는 「휴먼 게놈 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처럼 유물의 구조와 재질, 제작연대와 제작기법, 산지등을 알려주는 「성분지도」를 그리는 작업이다. 즉 자기편이 발굴됐을 경우 자기에 대한 시대별 성분지도가 있으면 간단한 시료검사만으로 제작시기와 태토의 성분상 전파경로, 제작기법등을 금세 알 수 있다. 범죄현장에 떨어진 머리카락, 타액등에서 유전자를 추출, 범인을 추적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97년부터 2006년까지 160여억원을 투입, 국보 보물등 중요문화재 1,000여점을 대상으로 성분분석작업을 실시할 방침이다. 연구계획은 대상유물의 재질에 따라 4단계로 나뉜다. 1단계(97∼99년)는 청동 및 금동문화재 300여점을 분석하는 기간. 문화재연구소는 청동·금동의 납동위원소를 분석하는 열이온화질량분석기(TIMS), 유물의 구조와 조직을 관찰하는 주사전자현미경(SEM), 영상분석기, 전자선탐침분석기등을 새로 도입할 예정이다. 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강형태 연구원(이학박사)은 『유물의 성분분석 결과를 시대적, 지역적으로 분류, 데이터베이스화하면 당시의 문화교류상황과 한국 청동기의 원류를 밝힐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의심스런 문화재는 간단히 진위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단계(2000∼2002년)사업의 대상은 기와, 토기, 자기문화재 400여점. 연구소측은 토기등의 굽는 온도를 분석하는 시차열분석기(DT/TGA), 점토질유물·금속제품의 부식연구에 활용되는 뫼스바우어분석기, 열형광연대측정기(TL)등을 도입, 그릇의 형태나 태토(태토), 문양의 판별에만 의존해온 기존의 편년방식을 과학화할 계획이다. 열형광 연대측정기는 모든 광물이 가열되면 빛을 방출하는 특성을 이용, 토기등 무기물의 연대측정을 하는 첨단장비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출토되는 고고학자료인 토기의 재료와 성분, 만든 방법, 구운 온도, 만든 과정등을 추적할 수 있다.
유리제품 문화재 200여점을 분석하는 3단계(2003∼2004년)에 이어 마지막 4단계(2005∼2006년)에서는 뼈, 목탄, 인골, 치아, 패각류 등 유기물과 화석, 종유석 등을 분석한다. 특히 4단계에서는 서화 등 유기질 문화재의 연대측정에 필수적인 장비인 100억원 상당의 입자가속질량분석기(AMS)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 기기는 문화재감식중 가장 까다로운 서화의 연대측정 및 진위판별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연구소는 첨단기기 도입과 함께 전문인력 증원이 필요하다고 건의하고 있다. 현재 7∼8명에 불과한 보존과학실 전문인력으로는 새 장비의 운용도 불가능한 실정이므로 지질학, 재료학, 핵물리학, 기계공학등 분야별 전문가들을 최소한 10여명은 더 충원해야 한다는 것이다.<변형섭 기자>변형섭>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