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면도로의 차량 주차를 전면금지하겠다는 서울시 소통대책은 너무 때늦은 것이기는 하지만 적극 추진해 볼 만한 일이라고 본다. 때문에 우리는 간선도로의 보조기능을 하는 도심지 이면도로의 주차행위는 말할 것도 없고 일시 정차행위까지도 철저히 단속해 간선도로의 소통효율성을 극대화하라고 권하고 싶다.서울의 차량보유 대수는 5월말로 2백9만대에 달했다. 이중 74%인 1백54만6천대가 자가용승용차다. 또 이 많은 자가용승용차의 80%가량이 「나홀로 타기」차량이다. 그런가 하면 서울의 도로율은 줄기찬 도로신설에도 불구하고 아직 20%가 채 안된다. 다른 나라 대도시의 도로율 20∼23%에 훨씬 못 미친다.
따라서 서울 도로의 차량 수용률은 이미 포화상태를 넘어서 도심 통행속도가 한계속도(시속 12㎞)에 육박한 곳이 많다. 하루에도 출퇴근 러시가 따로 없을만큼 24시간 체증 현상이 빚어지기 시작한 지도 오래 됐다.
이처럼 악화일로에 있는 체증현상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이 하나 더 있다. 그것은 간선도로가 막혔을 때 우회도로를 이용해야 하는 이면도로가 불법 주·정차(주·정차)로 인해 보조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현상이다. 그로 인해 간선도로가 막히면 꼼짝달싹 못하게 돼 저녁러시때면 으레 광화문에서 소공동까지 가는데 30∼40분을 지체하게 되는 식의 교통지옥이 서울도심 곳곳에서 생겨나고 있다.
세계의 선진도시들을 둘러봐도 차량이 늘어나는만큼 도로를 새로 뚫고 주차장을 신설해 교통체증을 해결한 경우는 없다. 그렇다면 서울의 고질적인 난제(난제)인 차량체증을 해결하는 방안 중의 하나는 있는 도로만이라도 이용률을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아니 할 수 없다.
그런 차원에서 접근한다면 이면도로의 주차 전면금지 방안은 돈 안들이고 도로의 소통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이 될 게 분명하다.
또 이면도로의 주차 금지조치는 아무데나 차를 세울 수 있다는 잘못된 주차습관을 뜯어 고칠 수도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주차의 어려움 때문에 함부로 자가용승용차를 끌고 도심에 들어오는 「나홀로 타기」 승용차의 운행을 자제시키는 부대효과까지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이면도로 주차금지제가 이같은 효과를 거두자면 강력하고 지속적인 단속과 함께 위반에 대해 과중한 벌금으로 큰 불이익을 줌으로써 감히 누구도 도심 이면도로에 차를 세우겠다는 생각 자체를 할 수 없게 해야 한다. 서울시의 강력한 추진을 거듭 강조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