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참정권 못지않게 본국에 대한 발언권 중요”/“세대등 내부갈등 심화”… 정부정책 전환 촉구도재외한인들은 현지 사회의 차별과 정체성의 혼란등으로 갈등을 겪고 있다. 한국은 이들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나. 재외한인문제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다각도로 시도되고 있다.
계간「역사비평」 여름호는 「재외한국인의 고민과 선택」이라는 특집에서 해외거주 한인학자 4명의 논문을 통해 일본, 미국, 중국, 러시아에 사는 한인들을 조명하고 있다. 일본 호세이(법정)대 강사 서경석씨는 「재일조선인의 위기와 기로에 놓인 민족관」이라는 논문에서 역대 한국정부의 태도를 「기민정책」이라고 비난한다. 식민지배 때문에 일본에 살게 돼 해방후에도 어쩔 수 없이 그 곳에 남은 이들은 고국의 무관심과 일본의 제도적 차별로 고통을 겪어왔다. 2, 3세들은 조국과 민족에 대한 개념이 흐려지면서 정체성의 위기를 맞고 있다. 서씨는 『재일한인이 자기 운명의 주인이 되기 위해선 일본에서의 참정권 못지 않게 본국에 대한 의사표명과 정치 참여의 길을 여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홍순형씨(미남가주 한인노동상담소연구원)는 갈수록 심해지는 한인사회 내부의 세대간, 계급간, 집단간 갈등을 분석했다. 그는 미주동포사회에 대한 정부의 정책은 「북한의 영향력을 견제, 배척하고 맹목적으로 남한정부를 따르도록 유도하는 것」 뿐이었다며 발상의 전환을 촉구했다. 유 게라심씨(국제유라시아대학 총장)는 구소련의 한인들 다수가 이주 1세대가 살았던 극동지역으로 귀환하는 현상을 소개하고 이들이 민족적 자치제를 확립하는데 한국정부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연변(옌볜)대 교수 박창욱씨는 민족역사와 민족문화전통에 대한 지식을 접할 기회가 없는 중국조선족 2세들이 급속도로 한족에 동화해가는 현실을 조명했다.
한편 서울대 정인섭 교수(법학)는 최근 출판한 「재일교포의 법적 지위」(서울대출판부 간)에서 퇴거강제, 지문날인, 취업차별, 사회보장 배제, 보훈보상 배제등 제도적 억압과 차별에 시달리는 재일동포문제를 파헤치고 있다. 정교수는 일본사회에서 성장, 일본인과 똑같이 세금을 내는 재일동포를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일반외국인과 동일하게 처우하는 일본정부의 부당성을 고발했다.<변형섭 기자>변형섭>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