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류협력 방안 등 공동 관심사 논의/세계 각국,아시아 독자 행보에 촉각동북아 3대 경제대국인 한국 중국 일본의 중앙은행 총재회의가 6월4일 서울에서 열린다.
이경식한국은행총재는 16일 『대상룡(다이 샹롱)중국 인민은행총재와 마쓰시타 야스오(송하강웅)일본은행총재를 서울로 초청, 공동관심사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동북아경제권을 주도하고 있는 한 ·중·일 3개국의 중앙은행총재가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회의는 이총재가 주창한 것으로 앞으로 한·중·일 3국의 경제협력강화에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회의는 동북아경제권의 주도국인 3개국의 중앙은행총재가 한자리에 모인다는 점에서 「동북아 금융서밋(SUMMIT)」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때문에 세계 각국은 이번 회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중·일 3개국의 아시아경제권과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데다 그동안 서구권 중심의 금융협력체제에 의존해온 동북아국가들의 독자적인 행보가 시작됐다는 점에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은 서구권 중심의 금융협의체인데 동양에서는 유일하게 일본이 정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옵서버로 참여하고 있다.
서구국가들은 외환·환율정책과 관련한 협력체제를 통해 갑작스런 외화 유출·입이나 자국통화의 환율 급등락을 방지해왔다. 그러나 아시아지역 국가들은 이같은 협력체제를 미처 갖추지 못하고 있어 멕시코 페소화 급락과 같은 환율위기에 대처할 방안이 없는 상태다.
일본만 해도 작년 엔화가치의 급등에 따른 환율위기를 경험한 후 최근 「앞마당」인 아시아 외환시장의 안정에도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으며 한국도 최근 급격한 외화유입에 따른 환율압박을 받고 있다. 중국도 내년 영국의 홍콩 반환을 계기로 홍콩과 상해(상하이)를 중심으로 한 국제금융분야의 위상강화에 본격 나설 예정이어서 3개국의 외환·환율공조체제 구축에 대한 필요성은 이미 무르익은 상태다. 한은 관계자는 그러나 『이번 행사에서 외환·환율 공조체제등에 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없으며 단지 중앙은행총재들이 한자리에 모여 공동관심사를 논의한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유승호 기자>유승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