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과 연구의 상징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창립 30주년을 맞았다. 66년 2월10일 과학기술 불모지에서 산업계에서 필요로하는 과학기술 개발과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후 기술입국의 씨앗을 뿌리고 기술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경제개발의 꿈을 키우던 그 당시 우리에게 가장 필요했던 것은 과학기술이었다. 이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를 한몸에 받으며 탄생한 것이 바로 KIST였다. 연구인력이라고 해야 국내외에서 유치한 50여명에 불과했지만 기술한국의 내일을 짊어진다는 의욕만은 대단했고 이들의 뜨거운 연구열은 각 대학과 산업체의 연구진을 자극해 기술발전을 선도했다.
그동안 3천3백20억원의 연구비를 투입, 6천1백84건을 연구해 6백95건에 달하는 연구과제의 기업화를 완료하거나 추진중이다. 연구 못지않게 국가 싱크탱크 역할과 과학기반 구축에도 큰 업적을 남겼다.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등 11개 연구소의 모태가 됐으며 3천6백여명의 전문인력을 양성, 산·학·연에 진출시켰다.
그러나 출발 당시에 비해 그 명성과 기대가 많이 퇴색한 것은 커다란 아픔이다. 정부의 국책연구과제 등의 잦은 변경과 간섭 등 일관성 없는 과학정책과 연구풍토 및 환경변화에 따른 변신을 소홀히 한 결과다.
초창기에는 산업체에서 필요한 기술개발만으로도 존재가치가 충분했다. 경제성장과 더불어 기업의 부설 및 분야별 연구소가 속속 탄생하고 뛰어난 연구결과를 내놓음에 따라 빛이 흐려지기 시작했다. 기초과학 등의 연구로 이를 극복해야 했는데도 잦은 과학정책 변경 등으로 이를 하지 못했고 81년엔 교육전문기관인 한국과학원과 통합됐다가 89년에 다시 분할되는 수난을 겪기도 했다.
선진국들은 과학기술발전에 나라의 운명을 걸고 있다. 21세기에 세계중심국가로 발돋움하려는 우리도 똑같은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정부가 9일 과학기술의 획기적 진흥을 위해 특별법을 제정키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에 발을 맞춰 KIST는 거듭 태어나야 한다. 먼저 산업체 기술지원 위주의 연구 즉 계약연구기관에서 탈피하는 것이 급선무다. 장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가장 뒤떨어진 기초과학과 원천기술 및 환경 등 복지기술 개발로 내일을 열어야 한다.
정부도 과학기술개발 연구의 저변확대와 질적 향상이 과학기술 선진국 진입의 첩경이라는 점에서 KIST같은 연구소를 세계적인 연구소로 키우는데 지원과 이해를 아껴서는 안된다. 지원은 적극적으로 하고 간섭은 되도록 적게 하는 것이 정부의 할 일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