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지방선거 입체여론조사/지지후보없는 부동층 다수/기초장 지지도 민자민주무소속 순/서울시장후보 인지도 73.2% 최고/ “투표참여” 80%… 높은관심 반영/“선택기준 지역사업 해결능력” 59%/연령 젊을수록 “출신지역 고려”눈길/광역·기초장 지지한국일보사와 고려대 신문방송연구소, 미디어리서치가 공동으로 실시한 「한국일보 창간 41주년기념 지방자치제선거관련 여론조사」에서 유권자의 절반가량이 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 후보를 모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이 후보들의 인지도가 낮은 이유는 아직 본격적인 선거전이 시작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금품·향응공세도 아직까지는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통합선거법개정에 따라 이번 선거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자원봉사자활동과 관련, 대다수의 유권자는 이번 선거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할 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보 인지도에 대해 유권자의 40.5%가 「광역·기초단체장 모두 모른다」고 응답했다. 반면 「모두 알고 있다」는 응답은 29.1%, 「광역단체장후보만 안다」는 응답은 23.8%, 「기초단체장만 안다」는 응답이 6.7%였다. 구체적으로 시도지사후보의 인지도는 52.9%, 기초단체장후보의 인지도는 35.8%였다. 이에 따르면 유권자들이 아직 단체장후보들의 면면을 제대로 알고 있지못한다고 볼 수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시장 후보의 인지도가 73.2%로 가장 높았으며 광주시장 후보의 인지도가 30.0%로 가장 낮았다. 부산·대구·인천·대전시장 후보의 인지도는 각각 52.4%, 50.1%, 41.4%, 41.3%였으며 도지사 후보의 인지도는 경기 40.2%, 강원 56.4%, 충북 46.5%, 충남 47.6%, 전북 46.8%, 전남 50.7%, 경북 41.2%, 경남 50.8%, 제주 73.0%등이었다.
「광역·기초단체장 후보를 모두 안다」는 응답은 제주(60.0%)에서 가장 높았으며 「모두 모른다」는 응답은 호남지역(48.7%)에서 가장 높았다. 연령별로는 20대에서 「모두 안다」는 응답이 17.8%에 불과, 젊은층의 정치적 무관심을 드러냈다. 이에 반해 40대에서는 「모두 안다」는 응답이 42.1%나 돼 장년층의 정치적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기초단체장으로 투표할 후보」에 대해서는 13.1%가 민자당, 12.9%가 민주당, 11.2%가 무소속, 1.5%가 자민련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61.3%나 돼 기초단체장선거의 판세는 아직은 유동적이라 할 수 있다.
지역별로는 충청의 경우 자민련(7.7%) 무소속(7.0%) 민자당(6.4%) 민주당(3.7%)순이었으며 호남은 민주당(32.7%) 무소속(11.3%) 민자당(7.0%), 영남은 민자당(19.4%) 무소속(15.6%) 민주당(7.4%)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르면 기초단체장선거에서도 「영남 민자, 호남 민주」의 경향이 여전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반면 충청권에서는 자민련이 무소속과 민자당에 박빙의 우세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령별로는 30대의 경우 민주당 지지도(19.1%)가 민자당 지지도(9.5%)보다 높았으나 50대에서는 거꾸로 민자당 지지도(19.7%)가 민주당 지지도(6.7%)를 웃돌았다. 그러나 20대에서 민주당 지지(13.9%)와 민자당 지지(12.4%)가 비슷해 주목을 끌었다.
지지후보를 결정했다」는 응답자중 28.1%가 결정시기를 「한달 이전(5월 이전)」, 26.8%가 「한달전(5월초)」이라고 각각 응답, 절반 이상인 54.9%가 이미 오래전에 지지후보를 결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33.1%는 「1주일전(5월25일께)」, 10.2%는 「2∼3일전(5월말)」이라고 대답, 43.3%가 최근에 후보를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는 「지지후보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는 부동층이 응답자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지역별로는 「한달 이전」 또는 「한달전」이라는 응답이 영남(64.0%)에서 가장 높았고 호남(56.1%) 서울(54.7%) 충청(50.6%) 경인·강원(44.2%) 제주(38.4%)순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지역성이 강한 영남, 호남에 「결정형투표자」, 즉 상황과는 별도로 일관되게 특정정파의 후보를 지지하는 유권자들이 많다는 사실을 다시 입증했다.<5면에 계속>
<4면에 계속>
▷광역·기초장 지지◁
「광역·기초단체장으로 지지하는 후보의 소속정당이 일치하느냐」는 질문에는 「일치한다」는 응답이 30.6%, 「불일치한다」는 20.7%였으며 「잘 모르겠다」는 유보적 응답은 48.7%였다. 지지후보의 소속정당이 일치한다는 응답자중 10.5%가 광역·기초단체장 모두 민주당을, 9.8%는 민자당을, 9.1%가 무소속을, 1.2%가 자민련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했다.
「광역·기초단체장 모두 민자당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응답은 부산(20.8%)에서 가장 많았으며 「모두 민주당 후보지지」는 호남(29.0%)에서 가장 많아 우리 정치문화의 지역주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반면 「광역·기초단체장으로 지지하는 후보의 소속정당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제주(38%), 서울(32.6%)에서 많았다.
▷투표율◁
유권자의 80.3%가 이번 선거에서 투표하겠다고 응답, 이같은 답변이 현실화된다면 상당한 고투표율을 보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비해 「그때 가서 결정하겠다」는 유보적인 응답은 16.4%, 「투표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2.2%였다. 이로 미루어 6월 지방선거의 투표율은 지난 91년의 기초(55%)·광역의회선거(58.9%)보다는 월등히 높고 14대 대선(81.9%)과 총선(71.9%)의 중간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별로는 제주가 86%로 가장 높고 경남북이 78.4%로 제일 낮았다. 연령별로는 20대 73.1%, 30대 79.6%인 반면 40대 86.2%, 60대 88.6%로 나타나 「젊은층의 투표율이 장년층 보다 10∼15% 낮다」는 통설이 이번에도 적용될 것같다.
▷후보선택 기준◁
후보선택기준은 「공약·정책제시등 지역사업해결능력」이 59.3%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행정경험(19.4%) 정당(6.5%) 지연·학연(3.1%)의 순이었다. 「공약·정책제시등 지역사업해결능력」을 꼽은 응답자중에는 젊은층(20대 66.5%, 30대 61.9%), 고학력자(대학재학이상 64.4%)가 두드러졌고 직업별로는 학생층(71.6%)이 많았다.
지역별로는 「지역사업해결능력」이라는 응답은 호남(64.6%) 인천·경기·강원(62.0%) 제주(60.0%) 영남(58.2%) 서울(57.6%) 충청(51.0%)의 순으로 많았다.
▷후보출신지◁
「시도지사 후보의 출신지역이 후보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54.6%로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35.3%)이라는 응답보다 많았다. 지역별로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서울(44.0%)에서 가장 적었으며 호남(68.3%)에서 가장 많았다. 시도지사 후보의 출신지가 선거전에서의 이슈로 떠오를 가능성이 있는 인천 대전 경기 강원에서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각각 53.6%, 64.2%, 60.7%, 60.7%였다.
연령별로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20대 63.5%, 30대 54.6%, 40대 54.1%, 50대 47.3%, 60대이상 39.1%로 나타나 유권자의 나이가 젊을수록 「출신지역을 고려하겠다」는 반응이 의외로 두드러져 눈길을 끌었다. 학력별로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대학재학이상 58.8%, 고졸 58.3%, 중졸이하 43.4%로 나타나 고학력자계층에서 지연을 찾는 경향을 보여줬다.
▷자원봉사의향◁
「선관위·후보진영의 자원봉사자로 활동할 의향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다」는 응답이 3.4%, 「제의가 오면 수용하겠다」는 응답이 12.7%에 불과한 반면 무려 80·1%의 유권자가 「활동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이같은 결과는 깨끗한 선거를 위해 새로 도입된 자원봉사자제도가 정착되기에는 앞으로 시간이 더욱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비교적 자원봉사자제도에 대해 호응도가 높은 지역은 호남으로 「적극 참여」가 4.7%, 「제의가 오면 수용하겠다」가 15.0%로 19.7%의 호응도를 보였다. 호응도가 가장 낮은 지역은 경북(5.1%)이었고 강원지역 역시 8.2%로 자원봉사활동에 관심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거 후유증◁
「선거후 가장 우려되는 현상」으로는 유권자의 29.7%가 지역감정 심화를 꼽았으며 22.7%가 행정공백, 14.8%가 금권타락선거의 후유증, 11.0%가 관권선거 후유증을 각각 지적했다. 지역감정 심화에 대한 우려는 전 연령층에서 고르게 제기됐으나 20대에서만 행정공백(29.6%)이 지역감정(29.5%)보다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경우 우려되는 현상으로 행정공백(27.4%)이 가장 많이 지적됐으며 호남에서는 지역감정 심화라는 응답이 무려 42.7%나 됐다. 영남에서는 「금권타락선거 후유증」에 대한 우려가 16.5%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선거 후유증◁
「선거와 관련해 금품·향응을 제공받거나 제의를 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98.5%가 「없다」고 응답했다. 이는 과거선거에 비해 금품·향응공세가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나 아직 선거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않았기 때문에 타락선거양상이 두드러지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공명선거의 여부는 좀더 기다려봐야 알 수 있을 것같다.<이영성 기자>이영성>
◎“설거결과 내년총선 그대로 재현”28%/정계개편·정국상황 강한 변화욕구 시사
6·27지방선거의 결과는 내년 15대총선에 과연 어느정도의 영향을 미칠까.
이같은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74.6%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방선거결과가 총선에 그대로 반영될것」이라는 응답이 28.9%,「약간 반영될것」이라는 대답이 45.7%였다. 반면 「총선과 무관하다」는 견해는 11.8%에 그쳤다.
이같은 설문결과는 지방선거가 향후 정국상황의 변화, 나아가 정계개편을 유발하는 단초가 될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 이번 선거가 단순히 지방일꾼을 뽑는 지역선거에 국한되지 않을 것임을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이런 의견은 전국 유권자의 절반이상을 차지하는 20대(82.4%)와 30대(80.8%)에서 특히 많이 나왔다. 이는 이들 연령층의 기본적인 변화욕구와도 무관치않다. 또 대학재학이상(85.1%)과 사무직 근로자(84.3%)및 월소득 1백50만원이상의 고소득계층(83.5%)등 이른바 「여론주도층」의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돼있다는 사실도 주목된다.
이에반해 50대와 60대는 각각 60.2%, 57.8%만 「반영될것」이라고 답해 젊은층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었다. 시도별 반응을 보면 대구의 85.4%가 「반영될것」이라고 응답해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현재의 정국구도에 불만을 갖고있는 「TK정서」가 강하게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또 지역색이 강한것으로 평가되는 광주와 대전이 85%, 84.4%로 대구의 뒤를 이었다. 이에반해 친여지역으로 분류되는 경남은 71.9%로 평균치를 밑돌았다.
지역색이 비교적 약하거나 「중간지대」로 볼수있는 충북은 65%, 인천은 65.6%로 총선영향을 적극적으로 보는 응답비율이 낮았다. 이밖에 서울은 78.6%, 경기는 72.6%였다. 정치성향 또는 지역감정과 이번 선거를 보는 시각사이의 묘한 함수관계를 엿볼수 있는 대목이다.<김동국 기자>김동국>
◎조사방법/전국 만20세이상 남녀/2,000명 전화면접조사
이번 조사는 임의할당·체계적 무작위추출법에 의해 전국의 만20세 이상 성인남녀 2천명을 표본으로 선정, 지난 6,7 양일간 전화면접조사를 통해 실시됐다.
표본수는 서울 5백명, 인천·경기·강원 4백명, 충청 3백명, 호남 3백명, 영남 4백명, 제주 1백명이었다. 성별로는 남자 9백84명, 여자 1천16명이었고 20대 6백30명, 30대 5백34명, 40대 3백42명, 50대 2백58명, 60대이상 2백36명의 순이었다.
또 직업별로는 주부가 5백99명으로 가장 많았고 사무직 근로자 4백67명, 자영업자 3백1명, 생산직 근로자 1백87명등이었다.
권역별의 표본수는 비비률 할당으로 정했으나 전국적인 분석시에는 비율에 따라 가중치를 주었다. 표본오차는 ±2.19%.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