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7·11·14·16세때 과목별 종합평가/일,학생들 행동과 성격 3등급 분류교육개선안의 핵심으로 떠오른 종합생활기록부 운용계획은 도입에 앞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별활동 봉사활동시간의 강화로 학생들의 개성을 살리고 폭넓은 인성을 기를 수 있다는 취지는 좋으나 공정하고 합리적인 운용여부에는 다소 회의적인 반응들이다.
과밀학급의 학생 전체를 교사 혼자 평가해야 한다는 물리적인 어려움과 모호한 평가기준 등 미비점에 대해 벌써부터 부작용에 대한 우려의 소리가 높다.
우리에겐 생소한 종합생활기록부제도를 미국 영국 등 선진국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시험성적외에 성격 사회성 학습태도 등 학생들의 전반적인 특성에 대한 종합평가를 실시해 입시에 반영해왔다.
▷미국◁
고등학교의 교과별 성적기록과 학교장추천서 지원이유 향후계획 등을 적은 자술서가 입시자료로 활용된다. 대학측은 또 해당고교의 진로상담교사가 지원학생을 평가한 자료를 중시한다. 대학은 지원학생들에 대해 알고자하는 내용이 각각 다른데 이때 고교진로상담교사의 진술은 필수적이며 절대적이다. 모든 대학들은 기본적으로 지원학생들의 특별활동 단체활동 수상경력 봉사활동 인간관계등 고교시절의 행동발달사항을 자체기준에 의해 평가, 당락을 결정한다.
▷영국◁
7·11·14·16세마다 종합평가를 실시해 학생의 과목별 세부영역별 수준을 표시하고 교사의 서술적평가를 병기한다. 성적표에는 교과별로 학생이 도달해야 할 성취목표, 하위 성취목표, 학습프로그램등을 10단계로 구분해 표시한다. 또 같은 연령 학생들의 수준과 성취도도 기재한다.
정부는 그학교및 지방교육청별 평균 성적을 의무적으로 공표토록 함으로써 학교간 경쟁을 유발해 교육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하도록 유도한다. 한편 대학은 고등학교에 대한 서열을 매겨 A고등학교의 5등급은 B고교의 8등급과 같다는 식으로 차등평가한다.
대학측은 자체 기준으로 학생을 선발한 뒤 지원학생 평가에 대한 공정성을 조율기관에 맡겨 조율기관측에서 비합리적인 평가사례를 발견하면 대학은 전체 신입생을 재평가 해야 한다. 교장추천서는 학생이 어느 분야에 소질이 있고 어떤 특별활동을 했는지를 포함한다.
▷일본◁
중학교 교과에서 각 학년의 학습상황과 해당 평점을 5단계로 나눠 표시하고 담당교사의 소견을 학년별로 기재한다. 학생들의 행동과 성격에 대해 영역별로 3등급으로 평가하고 교사의견도 병기한다. 고교진학시 대부분 입학시험을 치르지만 일부 사립고는 내신을 더 중시, 추천제로 입학을 허가하는 경우도 있다.
평가기록은 학적부와 가정통지표가 있는데 한페이지짜리 학적부는 전국적으로 통일돼 있다.
▷독일◁
학생들의 각종 평가를 6등급으로 나눠 분류한다. 필답고사를 치르면 교사는 학생들에게 평가에 대한 이유를 적어 알려주고 교장에게 보고 한다. 과목별 평점에는 토론시간의 참여도, 정기·비정기적인 구두 쪽지시험, 실험준비및 교사보조능력, 노트정리등이 평소 점수로 추가 반영된다.
▷프랑스◁
내신은 타학생과의 비교가 아닌 과제물과 시험을 통해 자신의 성취수준만을 평가하는 절대평가방식으로 정해진다. 과제물은 교사회의를 통해 개인별로 결정되며 성적표에는 교사들의 소견과 교장이 직접 작성하는 권장사항이 기재돼 있다. 교사들은 교육단체가 발간한 평가지침서에 의해 객관적인 평가를 한다.<염영남 기자>염영남>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