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27일의 4대 지방선거를 2개월여 앞두고 중소기업계와 건설업계 농업부문등을 중심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심각한 인력파동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일손을 못구해 벌써 오래전부터 조업과 생산에 차질을 빚어온 산업부문이 선거를 만나 인력수급에 비상한 국면을 맞고 있는 것이다. 현재 나타나고 있는 산업현장의 인력난은 구조적인 것이다. 90년대 들어 경제활동의 주력인 15∼55세 연령층 인구증가율이 85∼89년의 2.1%에서 1.0%로 크게 낮아져 최근 7∼8% 수준으로 성장해나가고 있는 경제규모를 구조적으로 감당할 수 없게 돼있다.
여기에다 최근의 슈퍼 엔고로 활황이 가속화하면서 30∼50%수준의 엄청난 설비투자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도체 전자 자동차 조선 철강등을 중심으로 전산업 부문이 모자라는 생산 기술직 인력때문에 비상상태에 돌입한지 오래다. 선거가 없더라도 구조적 인력대책이 필요한 상황인데 대형 선거까지 겹쳐 일을 더 어렵게 만들어놓고 있는 것이다.
특히 근무환경이 좋지않고 임금수준도 높지 않아 인력이동과 유출이 심한 중소기업계와 현장인력의 70%수준을 일용잡급직에 의존하고 있는 건설업계에서는 연일 긴급대책회의를 여는등 선거철 인력수급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으나 이렇다할 마땅한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모내기등 본격적 영농철을 앞두고 있는 농촌은 사정이 더 급박하다.
이번 선거에는 출마예상후보자만 2만3천명, 투개표등 선거관련업무 종사자는 1백4만여명이 동원될 것으로 중앙선관위는 예상하고 있다. 여당만 따져서 전국 2백50개 지구당에서 각 1만명씩 자원봉사자를 동원한다 할 경우 그 숫자만 2백50만명이다. 야당과 무소속 후보 자원봉사자들까지 합치면 그 숫자가 얼마나 될지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이번 선거는 사상최대규모 선거로 엄청난 선거인력이 동원되는데다가 경제쪽에서도 마침 경기의 최절정기를 맞아 사상 최대의 인력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인력면에서 일대 파동이 생기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
이번 고비를 잘 넘기기 위해서는 우선 선거인력을 최소화하는데 비상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고 비산업 부문에 엄격히 국한해서 인력이 동원되도록 하는등 특별한 대책이 필요하다. 자원봉사자의 숫자를 대폭 줄여 제한하고 그 자격과 활동범위에도 일정한 기준과 제한을 두는등 과감한 대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자원봉사자들을 학생과 주부, 퇴직한 고령자등 비생산 부문 인력으로 국한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만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