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달러는 외환시장 수급따라… 변동범위 제한/대엔은 엔달러교환비율적용 금융결제원 고시 환률은 말 그대로 돈의 교환비율이다. 우리나라의 원화와 미국의 달러화를 교환하는 비율이 「1달러에 대한 원화환율」로, 원화와 일본의 엔화를 교환하는 비율이 「1백엔에 대한 원화환율」로 표시된다.
현재 달러화와 원화의 교환비율(달러에 대한 원화환율)은 국내 외환시장에서 수요공급에 따라 결정된다. 시장원리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다만 완전히 시장에 맡겨 놓지는 않고 기준환율(전날의 시장평균환율)을 설정, 변동범위(기준환율의 상하 1.5%)를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엔화와 원화의 교환비율(엔화에 대한 원화환율)은 시장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엔화에 대한 원화환율은 금융결제원이 매일 아침 고시한다. 이른바 재정(재정)환율(CROSS RATE)이라는 것인데 국제 외환시장에서 이뤄지는 엔화와 달러화의 교환비율을 적용해 원화와 엔화의 교환비율을 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달러당 원화환율이 8백원이고, 달러당 엔화환율이 90엔이면 8백원의 엔화가치는 90엔이 되는 셈이다. 따라서 1백엔에 대한 원화환율은 자동적으로 8백88원89전(8백≒90×1백)이 된다.
이에 따라 달러에 대한 엔화환율이 하락(엔화가치 상승)하면 달러에 대한 원화환율이 변하지 않는한 엔화에 대한 원화환율은 자동 상승(원화가치 하락)하게 된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국내 외환시장에서 엔화거래량이 너무 적어 국내 거래량만으로 정확한 교환비율을 정하기가 어렵다』며 재정환율 사용의 불가피성을 설명했다.
환율결정 방식은 나라마다 다르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대체로 시장의 수요·공급요인에 의해 환율을 결정하는 자유변동환율제도를 택하고 있다. 이에 반대되는 환율결정방식이 고정환율제도인데 지난 44년 출범, 73년 변동환율제로 돌아설 때까지 국제 통화질서를 규정했던 브레튼우즈체제가 이에 해당된다. 이 방식은 달러의 가치를 금값에 연동시켜 정해놓고 다른 통화는 기축통화인 달러화와의 교환비율을 정해 이 비율(중심환율)에서 상하로 1%범위에서 환율이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리나라가 90년3월부터 채택하고 있는 시장평균환율제는 자유변동환율제와 고정환율제의 중간 형태라고 할 수 있다.<김상철 기자>김상철>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