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이 끝나자 클린턴행정부는 아·태지역의 경제적 이해관계를 미국 대외정책의 핵심으로 끌어가려 애쓰고 있다.태평양 건너 아시아지역에 대한 클린턴행정부의 정책은 현명한 것이다.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제2차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는 미국이 아·태국가들과의 관계를 재설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클린턴대통령은 중국 일본 한국등으로부터 북한이 핵개발을 하지 못하도록 계속 압력을 행사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이는 매우 잘한 일이다.
미행정부는 또 개별 회동을 통해 중국과 인도네시아에 대해 인권문제를 제기했다. 클린턴대통령은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정책에 항의, 자카르타 미대사관을 점거한 동티모르출신 학생들에게 공감을 표명했다. 이것 역시 올바른 접근이다. 인도네시아는 유엔의 승인도 받지 않고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동티모르를 합병했다.
지난해 시애틀 APEC정상회의는 클린턴대통령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성사시켜 고무된 분위기에서 개최됐었다. 클린턴대통령은 당시 자유무역의 이점을 당사국들에 설득시킬 자신이 있어 보였다.
그러나 이번 회의에서 클린턴은 미국 중간선거에서 참패한 대통령으로 비쳐졌다. 이는 그의 참모들도 인정하는 것으로 참가국지도자들은 선거결과가 미행정부의 정책에 미칠 영향에 대해 관심을 보였다는 것이다. 이것은 당연한 질문이다. 그러나 현재의 인도네시아정부를 포함해서 민주주의 국가들은 언제라도 선거에 의해 이같은 운명을 맞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히 고위관료들이 노쇠했고 권위주의적인 중국이나 인도네시아에서 미래의 지도자들이 자유무역과 보호주의 가운데 어떤 정책을 채택할지 의문이다.【로스엔젤레스 타임스 11·15/정리=박진렬 로스앤젤레스특파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