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수년간 전국에서 대형 교량 붕괴사고가 여러 곳에서 발생했으나 교량의 부실여부에 대한 진단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23일 밝혀졌다. 특히 교량사고가 일어난 해에는 정밀진단을 받는 교량이 크게 늘어났지만 사고가 나지 않은 해에는 정밀진단이 크게 줄어들어 정부의 교량진단이 전형적인 전시행정이라는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다.
당국에 의하면 전국의 일반국도에 건설된 교량 2천6백20개중 육안검사등을 통해 다시 뜯어내거나 보수해야 하는 것으로 판명된 다리가 전국적으로 6백7개에 달하고 있으나 개·보수를 위해 올들어 정밀진단을 받은 다리는 이중 27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실이 우려되는 교량의 4.5%에 불과한 것으로 전국의 교량이 위험성을 안은채 방치되고 있는 주요한 원인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당국은 남해 창선대교가 붕괴됐던 92년에는 총 76개의 교량을 정밀점검했으나 새 정부 출범후인 지난해는 10건, 올해는 27건등 37개의 교량만 정밀점검해 92년 한해의 절반에도 못미치고 있다. 이는 정부가 창선대교 붕괴후 빗발치는 여론을 감안해 요란하게 정밀점검을 실시했으나 여론이 잠잠해지자 다시 점검을 외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관계전문가들은 『교량의 성실시공도 중요하지만 교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진단과 보수등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고 지적, 『정부가 체계적이고 정기적인 진단지침을 마련하고 관련 전문가들을 적극 육성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종재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