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계획·전염병관리 하는곳정도 인식/의료서비스 다양화 등 절실 지역사회 보건의료의 기간조직인 보건소가 정부정책의 부재속에 그 기능이 갈수록 위축되고있다. 93년말 현재 전국 시군구에 설치된 보건소는 모두2백69개. 읍·면·리 단위에 설치된 1천여개가 넘는 보건지소까지 합치면 엄청난 조직인데도 가족계획사업이나 법정 전염병관리나 하는 곳 정도로만 인식된 채 일반의 외면을 받고있다.
서울대의대 김창엽교수(의료관리학)는 보건소가 제기능을 수행하려면 보다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의 경우 보건소가 주민을 위한 건강상담과 식생활사업등의 실시를 통해 높은 호응을 얻고 있는 점을 김교수는 지적했다.
우리나라의 모든 보건소가 다 유명무실한것은 아니다. 독자적으로 보건영양사업을 벌이고 있는 수원 권선구보건소나 혼자 사는 노인을 위한 가정방문간호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서울 도봉구 보건소같은 곳은 주민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김교수는 『지역마다 그특성에 맞는 의료 서비스를 편다면 이용률이 훨씬 높아질 것』이라면서 『공단, 영세민, 사무직등 그 지역 구성원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양한 의료보건서비스를 펴기 위해서는 보건소 인력의 양적, 질적확보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현재 각 보건소에는 앞으로 주요 기능이 될 건강증진사업을 담당할 영양사, 물리치료사, 운동처방사등이 한명도 없다.
국립보건원 이종구과장은『일선 보건소장을 의료전문인력이 아닌 행정인력이 대부분 맡고있어 포괄적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기획능력이 사실상 없다. 보건소운영이 보사부와 내무부의 이원적 지휘감독 체계로 돼있어 장기적이고 책임있는 보건정책이 수립되지 못하는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보사부 박윤형지역의료과장은 이에대해 『우리나라도 결핵이나 나병등 전염병에서 중풍, 고혈압등 만성병 위주로 질병체계가 바뀌는 점을 감안해 앞으로 보건소의 기능도 만성질환자를 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바꾸어 나가는 정책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송영주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