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무부의 젊은 외교관들 사이에서 「외무고시 무용론」이 제기되고있다. 『앞으로 외국인을 만나야하는 일은 「그 친구들」이 다 한다는군』 『우리는 베이스캠프(본부)나 지켜야 할 걸』 『이러다가는 외무고시가 아예 없어지는게 아닐까』 얼마전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이라는 사투를 겪었던 외무부는 이른바 국제화와 세계화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수많은 분야에 대한 협상을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국가의 이익이나 장래를 돌아볼「여유」가 없었다. 당장 협상테이블에서의 의사소통이나 조문화작업에 원초적 불편을 절감했고 이를 해결하기위한 인력부재를 깨달았던것이다.
외무부는 현재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기발한 착상」을 해내고 오는 21일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이를 관철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있다. 외국에서 대학을 다닌 「한국인」들 중에서 50∼1백명을 뽑아서 세계무역기구(WTO)나 유엔등에 우리의 협상실무대표로 파견, 혹은 상주토록 한다는것이다. 더욱이 이들 「한국인」들의 국적은 상관치 않으며 『중고등학교도 외국현지에서 다녀 그들의 생활문화가 「외국스럽게」동화돼 있다면 외국인과의 협상에 더욱 유리할것』이라는 「우대규정」까지 마련해놓고있는 상황이다. 예컨대 미국에서 10년이상 미국교육을 받아 「미국화」에 성공한 한국사람 모양의 미국국적자에게 한미간 쌀협상의 실무를 맡기면 상대방과의 의사소통과 문화인식이 원만해서 좋은 결과를 이룰수있을것이란 생각이다.
얼마전 한미고위급인사의 UR관련 회담에서 미국당국자가 상대방인 한국대표의 감정을 고려, 『농산물』로 표현한것을 한국계미국인인 통역이 미국국내의 당연한 인식에 따라 『쌀과 같은 농산물』이라고 친절하게 옮김으로써 『회의중에 쌀얘기가 있었느니 없었느니』크게 논란이 된 예도 있었다.
외교는 자국의 모든것을 기반으로 타국과의 공존문제를 협상하는것이다. 외국어에 능통한 외교관, 상대국의 문화와 인식까지 체감하는 외교관, 심지어 「상대국화」되어있는 외교관은 필요하고도 중요하다. 그러나 협상효율을 높이기위해 협상의 본질을 흔들어 놓을 수는 없다. 한국에 대한 의무를 피하기위해 우리국적을 포기한 경우가 적지않을 「그들」에게 『국익을 위해 삭발이라도 하겠다는 자세로 협상에 임하라』고 주문하는것은 난센스일 수 밖에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