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장악·95년지자제 선거 “중임”/지방행정 개혁·권력력학물려 주목 이번 개각에서 정치적 의미가 묵직한 자리는 내무장관이다.
단순히 산하조직만 보더라도 직할시장 5명, 도지사 9명, 시장 68명, 군수 1백36명을 비롯, 내무공무원 26만여명 경찰9만여명으로 「장관급이상」이다. 그러나 정치권이 무게를 두는 이유는 규모때문이 아니다.
시기적으로 내무장관의 역할이 막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오고있기 때문이다. 새정부가 본격적으로「일할 수 있는」 시기가 내년이고, 일하기 위해서는 공직사회의 분발이 필요하며 이는 내무장관의 몫이라는 공감대가 여권핵심부에 형성돼 있다.
95년의 지자제선거도 내무장관의 비중을 한껏 높여주고있다. 지자제선거는 김영삼정부에 대한 중간평가가 될 것이고 선거결과는 그 이후의 정국향배를 좌우한다. 따라서 지자제후보의 인선, 관련제도의 정비, 원만한 선거준비등은 추진력과 정치적 감각을 겸비한 내무장관을 요구한다. 여권의 한 고위인사는 『누구에게나 좋은 소소장관은 안된다』고 강조했다.
권력역학도 작용하고있다. 민주계는 『30년의 피나는 민주화투쟁으로 정권을 창출하고서 내각의 핵을 우리가 하지 못한다면 말이 안된다』고 주장하고있다.
여기에는 민주계가 지방행정조직을 인적으로 장악해야 한다는 실리적 고려도 한몫을 하고있다. 특히 소장파들은 박관용비서실장에게 상당히 강한 톤으로 「민주계 역할론」을 개진했다. 황명수사무총장은 『개혁이 지방일선까지 파급되지 못하고있다』고 지적하면서 『대통령의 뜻을 실천할 수 있는 내무장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주계실세가 내무행정을 총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논리로 하마평에 오르는 후보는 최형우전사무총장 김덕롱정무장관이다. 두사람 모두 일언지하에 가능성을 부인한다. 하지만 두실세의 부인은 다분히 개각은 대통령의 전권사항이라는 「신하지도」를 풍긴다. 굳이 최전총장 김장관이 안된다면 다른 상도동인사라도 낙점돼야 한다는게 민주계소장파들의 기대다.
이와는 달리 내무장관의 중립적 등용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관직사회에서 일부 제기되기도하나 정치인출신의 등용이 유력하다는게 지배적인 견해이다.【이영성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