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현장의 최대 갈등요인이었던 전교조문제가 참으로 길고 긴 대결과 진통끝에 해결의 매듭을 풀기에 이르렀다. 전교조집행부는 15일 「탈퇴후 복직」이란 정부측 조건을 수용키로 결정, 해직교사들에게 교단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 지난89년5월28일 전교조를 일방적으로 결성한후 4년5개월여에 걸쳐 변함없이 전개해왔던 「합법화투쟁의지」를 일단 접어두고 복직으로 선회결정을 내린 집행부의 고뇌와 어려움은 적지않았을듯하다. 우리는 그래서 집행부의 결단을 대단히 잘 한 일로 평가한다.
전교조문제로 해서 그 기나 긴 세월동안 교육현장이 대결하고 진통하면서 겪어야했던 상처와 아픔을 되돌아보면 한가닥 회한을 금할 수 없다.
선생님들이 노동자를 자처하며 머리띠를 두르고, 극렬운동권학생들의 몸짓으로 시위와 집단농성을 하던 모습은 잊기 어려운 기억이다. 그리하여 교육현장이 불신과 반목과 분열과 대결로 얼룩졌고 1천5백여 교사들이 교단을 쫓겨나 학교밖에서 방황해야 했던 교육일선의 갈등은 권위주의 통치시대가 끝나고 민주화시대로 넘어오는 전환기의 피치못할 불행한 과정이었는지 모른다.
그러나 비록 전교조가 본질적으로는 실정법을 어긴 불법단체이기는 했지만, 그에 참여한 교사들중에는 진정으로 교육을 걱정하는 참신한 교사도 많았다. 그들이 제기하는 교육현장의 부조리·비위·비민주적이고 비교육적인 요소들은 교육계가 안고있는 곪집같은 문제들임이 사실이었다. 때문에 그들의 불법성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에서의 호응과 지지가 만만찮았다.
이제 교단을 쫓겨났던 전교조교사들이 교단으로 돌아오게 됐다. 전교조집행부든 평회원이든 가급적이면 더많은 해직교사들이 교단으로 복귀해야한다. 전교조간판을 지키는데 그렇게 연연할 필요는 없다. 복귀후에는 우선 가르치는 일에 전념해야한다. 지난날의 투쟁경력을 훈장처럼 내세울것도 없고 그렇다고 좌절감에서 끼리끼리 뭉쳐 소외집단을 만들어 또다른 투쟁의 몸짓을 하는데 전념해서는 안된다.
교육부와 일선학교 책임자 그리고 동료교사들이 해야할 일도 적지않다. 교육부는 「탈퇴후 복직」을 전교조의 백기로 받아들여 자만해서는 결코 안된다. 전교조사태뿐아니라 학교민주화과정에서 해직된 다른 교사들도 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교육계에 잔재한 갈등의 앙금을 차제에 청산했으면 한다.
교육을 개혁하고 교육환경을 개선하며 교육일선의 비민주적 학교운영등 낡은 관행을 바로잡는 일을 서둘러야 한다. 그렇지않으면 전교조가 완전하게 해체할 까닭도 없고 제2의 전교조가 생겨나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다는것을 알아야한다.일선학교 책임자와 교사들도 동료애를 발휘해 돌아오게 될 해직교사들을 품에 안는데 인색하지 말아야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