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선 “명예회복 계기로” 느긋/은닉부동산 싼값 처분 소문도공직자윤리법에 의한 재산등록이 다가오자 지난 봄의 재산공개때 파문에 휩싸였던 민자당 의원들의 고민은 남다를 수 밖에 없다. 특히 당지도부로부터 공개 또는 비공개 경고를 받았거나 언론과 여론으로부터 집중적인 문제제기를 받았던 의원들의 경우가 그렇다.
이들은 「예비고사」를 간신히 통과한뒤 「본고사」를 치르는 수험생과 같은 기분을 가지고 남다른 대비책을 마련하느라 고심이다.
지난번 공개때 부동산 과다보유,축소공개,불분명한 취득경위 등 문제가 제기됐던 의원들은 『혹시 또 다시 다치지는 않을까』하는 우려속에 누구보다도 철저히 재산등록에 대비하고 있다.
더욱이 이번에는 허위신고나 축소신고 등에 대한 법적 제재조항이 있는데다 재산공개 기준 자체가 명확해 철저히 안할래야 안할 수 없는 상황이다.
대부분의 의원들은 지난 3월 공개한 재산내역과 항목에는 별 차이가 없지만 액수는 달라 이를 짜맞추는데 우선적으로 신경을 쓰고 있다.
『어차피 재산이 많고 적은 것은 알려지지 않았느냐』라며 『여론을 설득하는게 관건』이라는게 이들의 설명이다.
이들 의원들은 표면적으로는 『지난번 공개때와 내역이 달라지는 것은 거의 없다. 단지 산정방식의 차이로 총재산가액이 조금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 몇몇 의원들은 오히려 『지난 재산공개때 오해가 있었다』며 이번 기회를 명예회복의 계기로 삼겠다는 입장까지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여의도 주변에서는 일부 의원들이 재산공개때 누락시킨 부동산을 처분하느라 정신이 없다는 얘기까지 나돌고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또 재산이 많은 한 의원은 등록했던 부동산 일부를 최근 싼값으로 팔아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지난 공개때 경고를 받은 금진호의원측은 『소유 부동산중 개인소유가 아닌 문중소유의 땅이 많다』며 『이번에는 이를 구별해 등록할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금 의원측은 또 『경북 영풍군에 있는 일부 토지는 공시지가가 1백90원인데 지난 재산등록때 사무착오로 인해 1천9백원으로 잘못 기재됐다』며 『이번에는 바로 잡겠다』고 말하고 있다.
함께 경고를 받았던 남평우·조진형·김영진의원 등도 재산 재등록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조 의원측은 『지난번과 차이가 거의 없을 것』이라면서 『재등록때 부채를 포함시키는 문제를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남 의원측은 산정기준의 기준시가를 공시지가로 바꾸면 재산총액이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남 의원측은 『문제가 됐던 「국빈예식장」의 경우 건물은 법인명의로 돼있고 그것도 전세임대금을 빼면 얼마되지 않는다』면서 이같은 내용을 이번 등록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강원 원주소재 토지중 3천여평은 실소유자가 옛날의 소작인』이라며 이 부분은 이번 등록에서 제외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가액 축소공개로 물의를 빚었던 이명박의원은 최근 서울 서초동 검찰청사 앞 땅 4백70평을 공시지가 평당 2천4백여만원의 반값에 팔았다. 이 의원은 또 경기 화성군의 본인명의 임야 1만평을 최근 모교인 고려대 교우장학회에 기증을 완료했다. 이 의원측은 『지난 1월15일 이미 기증한 것인데 6월초에야 등기이전이 완료됐다』고 설명했다.
이명박의원의 형 이상득의원도 충북 영동에 아들명의로 갖고 있는 임야 21만평(공시지가 2억2천만원)을 선교재단에 기증하기 위해 절차를 밟고 있다.
이밖에 지난 재산공개때 재산총액이 2백77억여원으로 민자당 의원중 최고를 기록했던 김진재의원은 항목에는 전혀 변화가 없지만 가액 산정기준이 바뀌어 총액이 3백억원을 넘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토지의 경우 최근의 공시지가로,주식의 경우 액면가에서 시가로 가액을 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 당시 재산총액이 5위권안에 들었던 김동권·최돈웅·이승무의원 등은 『재산이 많다는 것이야 이미 알려진 것 아니냐』고 비교적 느긋한 자세를 보이면서 『새로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확히 가액을 산정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반면 지난 재산공개때 최하위를 기록했던 김호일·박경수의원 등은 각계의 후원금이 답지해 재산이 오히려 늘었다는 얘기도 들리고 있다.<김광덕기자>김광덕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