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수공위협」 내세워 건물 서둘러/당시 토목학회장 최영박교수등86년 11월 평화의 댐 건설계획이 발표된후 정부의 자문에 응했던 관련학자들은 정확한 조사·분석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정부 당국에 의해 일축됐던 사실이 밝혀졌다. 또 일부 학자들은 당국의 「협조요청」으로 입막음을 당했다고 말했다. 당시 토목학회장이었던 최영박 수원대 총장(당시 고대 교수)은 17일 『북한 금강산댐의 정확한 규모가 밝혀질 때까지 대응건설에 대한 신중한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다고 정부에 건의했으나 묵살당했다』고 밝혔다. 최 총장은 정부요청으로 자문위원단에 참가했지만 지금도 대응댐 건설의 필요성에 회의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댐 전문가들은 금강산댐은 당시 5공 정부가 주장했던 것과는 달리 위협적인 수공능력이 없다며 평화의 댐 건설 자체에 근본적인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들 댐 전문가들은 지난 86년 당시 정부가 밝혔던 북한의 금강산댐 건설규모는 저수량이 2백억톤에 달하는 초대형인데 이같은 정부발표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경우 금강산댐은 폭약 등에 의한 폭파가 어렵고,설령 폭파를 하더라도 남한측에 끼치는 직접적인 수공위력은 별로 크지 않다고 주장했다.★관련기사 2면
안수한 전 서울대 교수는 이와관련,『금강산댐을 저수용량 2백억톤 규모로 건설할 경우 댐 밑바닥 폭이 최소한 1천2백m,댐 중간폭이 5백m에 높이는 2백m로 남산만한 크기가 된다』며 『이같이 엄청난 규모의 댐을 단번에 파괴하는 것은 어렵다』고 주장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