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북 반한노선으로 일관해온 일본 사회당이 지금까지 추구해온 사회주의 노선을 포기하고,한일 기본조약과 미일 안보조약을 인정하는 당강령을 마련했다는 것은 주목할 일이다.아카마쓰 히로다카(적송광륭) 사회당 서기장이 13일 발표한 강령안은 지금까지 금기로 돼온 미일 안보조약과 한일 수교조약을 인정하는 이외에 자위대의 인정과 핵에너지의 평화적 이용까지 허용하고 있다. 일본 사회당의 이같은 대변신은 마르크스·레닌주의와의 결별과 함께 유럽형 민주사회주의로의 노선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일본의 혁신정당에는 제1야당인 사회당과 공산당이,중도정당으로는 공명당과 민사당이 있다. 사회당은 공산당과 같은 혁신정당이면서도 어느 면에서는 공산당보다 더 교조주의적이었으며 친북한 정책을 견지해온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사회주의 종주국인 소련이 해체된후 러시아와 중국이 시장경제원리를 도입하는 등 크게 탈바꿈하고 세계가 탈냉전시대로 들어서자 현실감각이 없는 사회당의 인기는 갈수록 떨어져서 이대로 가다가는 제1야당의 입지마저 흔들릴 위험수위에 이르렀다. 또한 참의원선거 등 지방자치단체 선거에서의 패배와 가네마루(김환신) 자민당 부총재와 친분이 두터운 다나베(전변성) 전 사회당 위원장의 개혁추진이 실패하자 사회당은 더욱 조락세를 면할 수 없었다.
사회당은 지금까지 일본과 국교가 없는 북한 정권은 승인하면서도 유엔 결의에 의해 탄생된 합법정부인 대한민국에 대해서는 국가로 인정하지 않아왔다. 게다가 65년 한일 국교정상화까지 외면하는 비현실적 노선에 집착해왔다.
결과적으로 사회당은 북한이 한국과 미국과의 3자회담을 지지하고 있는 마당에 국제적 지위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 한국정부를 인정하지 않는 자체적인 모순을 안게 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당의 정강정책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은 만년 야당의 무책임한 정당운영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한 몸부림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회당은 그동안 자민당의 장기집권을 저지하기 위해서 중도적인 공명당을 중심으로 한 중도우파 정당과 혁신정당과의 반자민당 연합정권 투쟁을 벌여왔으나 별로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그 이유는 공명당과 민사당이 한일 기본조약과 미일 안보조약을 인정하고 있는데 반해 사회당이 이를 정면으로 거부하고 있음으로써 연합정권 투쟁을 위한 공동정책을 세울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일본 사회의 우경화와 사회주의 정당의 국제적 퇴락에 따라 일본 사회당은 어쩔 수 없이 마르크스의 이념정당으로서의 날개를 접고 있다는 인상이다. 사회당의 그같은 현실 노선으로의 탈바꿈이 과연 일본 국민으로부터 얼마나 지지를 받을지는 두고 볼 일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