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지평선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지평선

입력
1993.05.02 00:00
0 0

대학의 입학부정이 극에 달했던 것은 60년대 중반이다. 그때는 아예 대학의 입학정원이 있으나마나였다. 청강생을 정원보다 더 많이 뽑았다. 뒷문입학도 부지기수였다. 서울에 우뚝우뚝 솟아나는 대학건물에 우골탑이란 오명이 붙었던게 그 때의 일이다. 이러한 사학들에 제동을 건 것은 박정희정부였다. ◆학생선발권한·정원조정권한·등록금인상권 등 3대 권한을 몰수,국가가 대리행사하면서 입학부정은 사라졌다. 5공 정부도 「7·30 교육개혁」과 함께 비리사학에 대해 철퇴를 가하는 것으로 집정을 시작했다. 대학들은 자율권을 입에 담는 것조차 어렵게 됐다. 서슬퍼런 강권앞에 입학부정이 기생할 소지를 잃었다. ◆그러나 5공 말기인 86년 11월 「선 시험·후 지원」으로 바꾸고 「학력고사 채점권한」을 대학에 일임했다. 극심한 눈치지원의 피해를 줄이고 대학의 학생선발 자율권을 일부나마 반환해준다는 취지에서였다. 공교롭게도 바뀐 입시제도가 적용된 87년 대학입시에서부터 사학들에서 입학부정이 또다시 등장했다. 해를 거듭할수록 규모도 커지고 수법도 조직적이고 대담한 것으로 변했다. ◆몰지각한 사학들에 입학부정을 만연시킨 여러원인중에 큰몫을 한 것은 권력층과 갑자기 떼돈을 번 졸부들의 천민자본주의 근성과 한탕주의라할 수 있다. 권력과 돈이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그릇된 생각이 자녀의 대학입학마저 압력을 넣어 뺏어내고 돈으로 샀던 것이다. 재정난에 허덕이던 약삭빠른 사학재단이나 총·학장들이 또한 한탕주의의 병든사회 풍조에 편승,손쉽게 수십억을 끌어들일 수 있다는 도덕성의 마비가 어우러져 입학부정 태세를 빚어낸 것이다. ◆때문에 입학부정을 근본적으로 뿌리뽑자면 대학재단과 총·학장을 비롯한 교수들의 마비된 도덕성을 재생시키고,학부모들의 자녀교육관과 의식을 한단계 높이는 개혁을 하는데서 출발해야 한다. 제도만 고쳐서는 안된다. 교육부 공무원들을 백번 물갈이해도 될 일이 아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