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감사전 경찰수사 이례적경원학원 입시부정 및 학원비리 수사는 제보,수사주체 선정,수사진행 속도 등에서 여타사건과 비교할때 아주 대조적이다.
최근 있었던 비슷한 유형의 광운대 입시부정사건과 비교할때도 이 사건은 판이한 차이점이 드러나고 있다.
광운대사건이 개인의 문제에 대한 제보가 서울경찰청에 접수돼 수사과정에서 엄청나게 커진 사건이라면 경원대사건은 처음부터 재단차원의 조직적인 비리라는 제보에서 비롯됐다.
또 광운대사건이 수사과정에서 확대되면서 1차 중간 수사결과 발표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 것과 달리 이번 사건은 수사진행 속도가 아주 빠르다. 수사주체가 청와대에 의해 경찰청으로 하명된 것도 갖가지 추측을 낳고있다.
수사의 촉발원인이 된 제보는 경원전문대 김영기교수(36·공업경영)가 언론사에 제보한 입시와 관련한 「유명인사·공직자 등 사회지도층인사 명단」이다.
그러나 김 교수는 이 명단이 『부정입학을 의뢰한 사람들이 아니라 합격여부를 물어온 사람들이었다』며 오도됐다고 주장하고 있어 궁금증을 더해주고 있다.
처음 사건이 보도될때만 해도 교육부의 확인감사후 부정에 대해서는 검찰에 넘겨 사법처리한다는 것이 교육부·검찰의 방침이었고 통상 이 수순을 밟아왔기 때문에 경찰청의 즉각 수사착수는 의외였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거론되는 추측은 상지대사건 등에서 드러난 교육부 감사의 부실·미온처리에 대한 집권층의 불신과 검찰의 91년당시 초기수사에서의 허점에 대한 불신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경원학원 내부의 신·구 재단 갈등이 증폭된 것이 사건의 발단이었고 투서내용도 구재단의 비리를 폭로하면서 새 재단이후의 비리를 집중 성토한다는 점에서 수사착수는 현 재단에 대한 청와대의 시각을 반영한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 대학이 5·6공을 통해 급격히 성장했고 새 재단관계자가 발행하는 출판물의 보도내용이 현 정부에는 달갑지 않았을 것이라는 추론이다.<최성욱기자>최성욱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