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은 식목일에 한식과 청명이 겹쳤다. 집단,문중,개인 등 각종 묘지는 성묘객들로 붐볐다. 분묘에는 새로 떼를 입히는 등 후손들의 손길이 갔다. 대다수 시민이 봄의 한식,가을의 추석 등 연중 두번 성묘길에 나서지만 그때마다 새삼 느끼는 것은 『묘지는 만원입니다』는 것. 우리는 살아서도 죽어서도 주택난에서 풀려나기가 어려운 것 같다. ◆보사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와 묘지면적은 92년말 현재 1천9백3만4천여기에 9백58㎢,남한의 전면적(9만9천1백68㎢)의 0.96%에 해당한다. 서울시 면적의 1.6배에 상당하는 규모다. 묘지설치 신고를 하지 않는 관행을 감안한다면 전국에 산재해있는 실제의 묘지면적은 이보다 더 넓을 것이 확실하다. 협소한 국토에 비해 묘지면적이 이처럼 넓은데도 해마다 신규 묘지수요가 9㎢(2백72만평)씩 늘어나고 있다. 잘못하면 생자와 사자의 땅싸움이 일어날 판이다. ◆유독 한국에서 묘지의 수요가 계속 크게 늘어나는 것은 우리의 유교적인 조상숭배사상과 풍수지리사상의 영향에 따른 매장선호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종교중 개신교와 가톨릭 등 기독교인들도 매장선호도가 높은데다 화장을 선호하는 불교와는 달리 기여도가 높다고 보겠다. ◆국토개발원이 89년 전국 1천8백60명의 가구주·대학생·고등학생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조사응답자의 82.9%가 매장선호로 나타났다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화장률이 89년 19.2%로 85년의 16.6%,87년에 17.8%에 비해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비해 일본(거의 1백%),홍콩(약 90%),태국(85%) 등은 절대다수다. 문화의 차이 때문이다. ◆유택난 해소에도 의식개혁이 필요한 것 같다. 보사부는 호화분묘를 고발하는 소극적인 차원에서 벗어나 묘지면적의 축소(3평),시한부매장(10년),묘적허가제도 등 묘지제도의 혁명을 구상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문화와 관습이 따라 줄 것인가 그것이 문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