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재단의 친인척 비리문제가 최근의 총체적 입시부정 사건으로 새삼 노출되고 있지만 사실 그 비리의 뿌리는 깊고 오래된 것이다. 지난 69년 국회가 건국후 최초로 벌인바 있었던 사학 특감 당시를 한번 돌이켜보면 오늘의 사학이 당시보다 엄청나게 비대해졌으면서도 질적으로 과연 나아진게 무엇인가하는 회의감에 빠지게 된다. ◆당시 야당의 총무였던 김영삼의원은 특감이 『고삐풀린 말처럼 20년을 제멋대로 횡포해온 사학의 부정과 비위를 시정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당시의 육인수 특감위원장은 『일부 사립대학 학생들이야말로 학교재단의 치부경영을 위해 태어난 감이 없지 않다』는 심한 말까지 불사했던게 생각난다. 당시의 김 총무가 차기 대통령으로 당선된 오늘에 와서까지 사학이 저 모양이면 비리의 심도를 짐작할만 하지 않은가. ◆특감 당시 드러났던 사학 설립자나 재단의 치부들도 한번쯤 교훈삼아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 당시 어느 사학은 10년동안에 재산이 3만배나 늘면서 빼돌린 돈으로 음식점과 부동산 확보도 모자라 대기업을 매수,재벌의 기틀을 마련한 사실이 폭로되기도 했었다. 그런 비리의 수단은 물론 재단측 주도의 부정입학. 합격자를 떨어뜨리고 돈받고 학생넣기,청강 및 입교권을 재단 하수인격인 학생 주먹패들에게 보너스로 주기,졸업장 팔아먹기 등 온갖 비리가 횡행했음이 폭로됐었다. ◆당시 특감대상에 올랐던 학교 설립자 및 총학장겸직 교주들의 전횡을 사학비리의 근본요인중 하나로 봤던 5공정부에서는 사회정화 차원에서 설립자의 총학장겸직 및 학사행정 간여를 금지시키기에 이르렀다. 그래서 많은 거물급 교주 총장들이 물러났었다. 그러나 6공은 사학의 특색을 살리고 발전을 도모한다는 이유로 설립자 총장겸임 및 학사간여 금지조치를 풀어버리고 말았다. ◆그같은 당국의 안이한 발상이나 대처가 단속의 고삐를 푼 결과가 되었음은 이번 광운대 사건으로 분명해졌다. 20여년전을 생각하면 제2의 특감을 다시 해서라도 비리를 진정으로 뿌리뽑았으면 하는 생각이 간절한 오늘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