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에 살고 있는 한인들이 심각한 수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옛 소련이 붕괴되면서 잠재적인 걱정거리가 됐던 사태가 결국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가장 심각한 상황은 1년이상 내전이 계속되고 있는 타지크공화국이다. 1만3천여명의 한인중 절반선인 6천여명이 인접 우즈베크나 러시아 등으로 빠져나갔고,7천여명은 공화국 수도인 두샨베 등 세군데에서 집단 난민생활을 하고 있다한다. 이들을 위해 우리 정부는 쌀·담요·옷가지 등 긴급 구호품을 전달했다.
타지크가 위치해있는 중앙아시아에는 카자흐,우즈베크 등을 주로 해서 우리 동포 약 32만이 몰려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옛 소련에 있는 우리 동포 44만중 4분의 3이 이 지역에 몰려있는 것이다.
옛 소련이 붕괴된후 러시아와는 판이한 문화전통과 역사를 지닌 이 지역에서는 강력한 민족주의 감정이 대두하고 있다. 우선 공용어가 현지 토착어로 바뀌면서 주요 관직이나,심지어 집단농장의 행정책임자까지 한인들이 쫓겨나고 있다고 했다. 특히 우즈베크와 카프카즈지역의 한인들에게 법적인 냉대가 심하다고 소설가 김 아나톨리도 우려했다.
두말할 것도 없이 이들은 37년 스탈린에 의해 극동 연해주로부터 강제 추방된 한인들의 2·3세들이다. 이들은 50여년동안 피눈물나는 노력끝에 중앙아시아의 황무지를 쌀과 목화를 생산하는 농업지대로 만든 기적의 창조자들이다.
고르바초프 정부가 개혁·개방을 추진하면서 연방의회는 이들의 집단이주가 잘못된 것이었다는 선언적인 결의가 있었다. 그러나 소련 해체이후 고립된 한인들에 대한 근본적인 보호대책은 없다.
러시아는 비슷한 처지에 있는 독일계에 대해서는 볼가공화국의 이름으로 자치공화국을 만들도록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한인들의 경우 고려인협회를 중심으로 연해주에 자치주 또는 자치구 설립이 추진되고 있으나 러시아정부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중앙아시아에 버림받은 우리 핏줄의 안전과 번영을 돌볼 책임은 바로 우리 자신에게 있다. 러시아 뿐만 아니라 독립국연합(CIS)권내 각 공화국과 독자적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만큼 이 지역 동포의 안전을 중요한 외교목표로 설정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이들에게 자치권이 보장되는 생활권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그것이 어렵다면 연해주에 개발특구나 한국기업 전용공단을 만들 경우 우리 동포를 염두에 둘 수 있을 것이다.
지난해 11월 서울에 다녀간 옐친 러시아 대통령은 37년 우리 동포의 강제이주에 대해 지극히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중앙아시아 동포의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제기해야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