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의 인구주택 조사결과에 따르면 조사 당시인 90년 11월 현재 1백세를 넘은 장수노인은 남자 45명·여자 4백14명으로 모두 4백59명이며 10년전인 80년 2백24명의 2.04배,5년전인 85년 2백82명의 1.92배였다고 한다. 이 당시 조사에 나타난 1백세 이상 노인은 92년 9월1일 현재 생존중인 장수노인은 2백23명이며 조사실시후에 1백세를 넘어선 노인을 합하면 현재 전국에 생존중인 장수노인인 이보다 다소 증가했을 것으로 보인다.또한 14세 미만 유년인구에 대한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인 노령화 지수가 91년에 사상 처음으로 20%선을 넘어서서 우리나라와 인구구조가 개발도상국형서 선진공업국형으로 전환했음을 나타냈다고 한다. 91년 현재 14세미만 유년은 총인구의 25.3%이고 61세 이상 노인은 5.1%로서 노령화 지수가 20.2%에 이르러 미국과 일본의 57.4%에는 뒤지나 세계평균인 19.1%를 넘어서고 개발도상국 평균 12.4%를 크게 앞지른다는 것이다. 1백세이상 노인인구의 급증과 노령화 지수의 상승은 가족계획에 따른 출산율 저하,영아사망 감소 그리고 의료서비스 개선의 결과라고 분석되는데 인구구조의 전환에 보조를 같이하지 않으면 안될 것은 노인복지대책과 노인인력의 효과적인 활용이다.
심신건강의 쇠퇴기에 접어든 노인은 노동력과 경제활동능력을 점차적으로 상실하는 비경제적인 유휴인력화하여 이들의 부양을 경제활동인구가 책임지지 않으면 안되며 노인부양 문제는 사회전체의 경제적인 부담으로 남게 된다. 노령화 지수의 상승은 비경제인구층인 노인부양의 부담이 증가되는 것을 의미하며 정부가 유효 적절한 노인복지대책을 세워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면 중대한 사회불안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
특히 전통적인 대가족제도의 붕괴와 핵가족제도의 등장으로 노인들이 정주할 안식처를 잃고 노두에서 방황하는 한국적인 실정에서는 종합적인 노인복지대책의 강력한 추진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노인복지대책이라면 무의탁 노인을 위한 양로기관의 확충,각종 노인병 전문병원의 설립,재택 치료제도의 실시 등을 열거할 수 있으나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바로 활동능력이 왕성한 「노익장한 노년인력」의 활용이다.
평균수명의 연장과 의료서비스의 개선으로 종전과는 달리 젊은세대와 다름없이 왕성하게 활동할 수 있는 노인층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들 노익장한 노인들이 한창 일할 나이에 정년제에 묶여 일선에서 물러나야 하는 것은 국가적 손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만큼 건강증진과 평균수명 연장 등과 발맞추어 정년 연령도 재조정하여 노인인구의 재활용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