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속 60㎞ 충돌땐 추락 “속수무책”/안전성 허술… 대형사고 상존/「방호책」등 보완시설 시급각종 차량이 다리 난간을 부수고 강물이나 하천으로 추락,대형 인명피해를 내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데도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교량추락사고의 원인은 대부분이 운전자 과실이지만 난간이 허약한데다 방호책 등 안전시설도 보강돼 있지않아 치사율 높은 사고를 예망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6일 새벽 한강대교에서 시속 1백20㎞로 과속질주하던 1.4톤 화물트럭이 검문받기 위해 정차하는 승용차를 뒤에서 들이받고 한강으로 추락,운전자가 숨졌다.
지난 3월18일 전국 전주시 덕진구 화전동 호남고속도로 상행선 만경교에서는 빗길에 과속으로 달리던 직행버스가 추돌사고를 피하려다 중앙분리대를 받고 난간까지 부순 뒤 강물로 추락,36명의 사상자를 냈다.
또 3월13일 새벽 서울 한남대교에서는 야간에 가변차선을 과속운전하던 승용차 운전자가 한강에 빠져 익사했다.
경찰청 집계에 의하면 지난해 1월1일이후 올해 3월말까지 발생한 전국의 교량 추락사고는 34건으로 1백24명이 숨지고 1백71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또 서울의 경우 올들어 21일 현재까지 5건의 사고가 나는 등 88년이후 23건의 교량추락사고로 55명의 숨지고 47명이 크게 다쳤다. 특히 한남대교에서는 올들어 3건의 사고가 난 3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다. 사고원인은 과속·난폭·졸음·음주운전 등 한결같이 운전자 과실이었다.
이같은 사고를 줄이려면 교량의 차도와 난간사이에 방호책을 세워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설계구조상 주로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는 난간은 최근 설치한 것이라고 성인남자 3명이 한꺼번에 미는 힘밖에 견디지 못하며 20∼25㎝ 높이의 연석·차도와 보도 또는 가로수 사이의 경계가 되는 돌)은 시속 60㎞ 이상 달리는 차량의 이탈을 막지 못한다는 것이다.
서울시가 90년 11월과 지난해 10월 4억8천만원을 들여 사고다발 교량인 양화대교와 천호대교에 방호책을 설치한 뒤 이들 두 교량에서는 단 1건의 추락사고도 발생하지 않았다.
서울시내 16개 교량중 이들 교량을 제외한 14개 교량에는 예산확보의 어려움으로 방호책이 설치돼 있지않다.
만경교처럼 전국 대부분의 교량 역시 높이 1m 이하의 콘크리트나 철재 난간만 설치돼 있어 대형사고의 위험이 상존한다.
서울시는 올해 6억원을 들여 한강대교와 영동대교에 방호책을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예산심의 과정에서 삭제됐다.
이같이 안전시설 보강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모자라는데다 안전조치마저 미흡해 사고는 자꾸 일어나고 있다.
3월13일 발생한 한남대교 사고의 경우 1차적 과실은 운전자에게 있지만 군·경이 검문바리케이드를 설치하면서 전후방 80∼1백m 지점에 경광등·원추형 고무콘을 설치해야 하는 규정을 어기고 겨우 전방 25m에만 경광등·고무콘을 설치,사망사고의 한 원인이 됐다.
교통개발연구원 설재훈 안전연구실장은 『운전자의 법규 위반이 교량추락 사고의 주원이지만 「불법 운전자는 어쩔 수 없다」는 식의 무관심은 행정태만』이라며 『도로건설의 세부규정인 건설부의 표준시방서를 고쳐서라도 근본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홍희곤기자>홍희곤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