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대통령의 인사정책에 대해서는 기왕에도 많은 사람들이 많은 말들을 해오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제6공화국 출범이래 수다한 개각이 있었고 수다한 인물들이 등용되어 왔지만 대개의 경우 긍정적인 평가보다 부정적인 측면이 더 많이 지적되어 오지 않았나 생각된다.이번에 있은 총선후 개각만해도 일반이 기대했던 것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총선에서의 패배를 수습하고 선거결과에 나타난 민의를 겸허하게 수습하기 위한 개각치고는 그 본래의 뜻이 그다지 올바르게 반영되지 못한 것같은 인상을 주고있다.
안기부장의 경질은 「소속직원의 부당행위에 대한 도의적 책임을 물은 것」이라는 점에서 당연한 조치라고 인정되지만 그외의 인사에 대해서는 매우 납득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많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우선 안기부장 후임에 총선관리의 주요 책임자였던 내무장관을 옮겨앉힌 것이나,이유야 여하간에 지난 총선에서 유권자의 심판을 받고 낙선한 인사를 장관으로 승진발령한 일 등은 이번 개각이 총선 민의를 겸허하게 받아들이려는 것인지 아니면 형식적인 자리바꾸기나 보상성 발탁에 그친 것인지 종잡기 어렵게 만든다.
총선에서의 민자당의 패배가 여러가지 복합적 원인에 의해 재래되었다는 것은 이미 인정된 사실이거니와 그중에서도 경제실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야한다고 우리는 보고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실정에 대한 문책은 전혀없이 물가나 국제수지 적자와는 별상관이 없는 농림수산부장관 하나만을 경질하는데 그친 것도 우리로선 이해가 가지않는 부분이다.
설사 경제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안정기조의 정책적 효과를 결실맺기 위해 경제팀의 유임을 결정했다고 하더라고 국민들간에 팽배되고 있는 경제위기에 대한 불안과 변화를 요구하는 민심의 소재를 정확히 파악했더라면 최소한의 변화는 있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더욱이나 현재의 경제팀이 근거가 불확실한 낙관론에 치우쳐 있는데다가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는데 너무 안이한듯한 경향이 농후하다는 사실을 감안할때 청와대의 사태인식마저 심각성을 옳게 판단하지못하고 있는 것같은 의구심을 낳게한다.
물론 경제팀을 바꾼다고 해서 정책기조가 갑자기 변경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뾰족한 정책대안이 나올 수 있으리라고 기대하는 것도 아니지만 민심의 흐름이 변화를 요구할 때에는 일단 민의를 과감히 수용하는 것이 책임을 지는 정치이며 바람직한 정부의 자세라고 믿어진다.
앞으로 다시 내각경질이나 청와대 비서진 인사가 있게되려는지 지금으로선 예측하기 어려운 노릇이나,임기 1년을 미처 남겨놓고 있지 못한 노 대통령의 입장으로서는 이번 인사가 그의 마지막 인사포석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대통령선거전에 다시 개각내지는 보각조치가 없다고 친다면 노대통령의 인사정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산뜻한 면모를 보여주지 못하고 마는 것이 되지 않을까하는 아쉬움을 남기게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