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시안을 둘러싼 관련학계의 열띤 문제제기와 활발한 견해주장이 인상적이다. 과거에 있어던 교육과정 개정때는 찾아볼 수 없었던 현상이다. 그러나 지난달 27일 시안공개뒤 나온 문제제기나 주장의 내용을 따져보면 적지않게 실망하는 경우가 생긴다. 그동안 구체적으로 제기된 문제와 반대의견으로 나온 주장 등을 꼽아보면 ▲필수인 한국사의 선택전환 반대 ▲한문의 국어과목 통합반대 ▲체육시간 단축반대 ▲지리과목 선택전환 반대와 ▲서울대 교수들에 의한 고교교과계열 세분화(현행인문·자연2계열에서 8개 계열 세분화시도) 반대 등이다. 그리고 교련과목의 체육과목 흡수통합 반대움직임도 곧 현실화할 눈치라는 것이다.그런 이중 한국사의 선택과목화 반대말고는 대부분의 주장이 타당성을 결여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느낌을 주고 있어 유감이다. 말하자면 겉으로는 필수를 선택과목화하는데 대한 반대,과목의 흡수통합에 대한 반발,시간단축에 대한 불만 등의 대응논리가 그럴듯하나 내면적으로 보면 자기 학과목의 시간단축이나 필수에서 선택으로의 전환이 가져올 불이익이나 홀대를 「하필 내 과목이 감수해야 하느냐」는 교과이기주의라고 볼수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자신의 교과목이 중요시되는 것을 마다할 사람은 없다. 그러나 2세교육의 「보다 근본적인 교과목」이 「무엇이 되어야 하겠느냐」는 문제를 생각함에 있어서는 적어도 교과이기주의는 극복될 수 있어야 마땅하다고 본다. 뿐만아니라 6차 초중등교육과정 개정의 근본취지가 어디에 있느냐는 것을 먼저 깊이 생각했으면 한다.
이번 교과과정 개정의 기본방향은 2천년대 산업사회의 인력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지나치게 많은 각급 학교의 필수과목을 최대한 줄이고 개인의 적성과 소질을 좀 더 다양하게 개발할 선택과목을 세분화하자는데 있는 것이며,교과목지정권의 재량권한을 지방교육청과 단위학교에 더 많이 위임,교육의 중앙집권화와 획일성을 탈피해보자는데 있다할 것이다.
또 중요한 것은 인문계 위주의 고교교육체제를 실업계 위주로 전환시켜야 한다는 교육적 예견과 철학을 반영해 보기 위해 5차까지 9∼10년 주기로 했던 초중등 교육과정개정 주기를 이번에 6년으로 앞당긴 정책의지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논의와 문제제기는 이러한 기본적인 대원칙을 전제로 하고,2세교육을 보다 낫게 하려면 「이렇게 하자」는 식이 돼야한다. 그렇지 못하고 「내 과목은 손대지 말고」 개정되어야 한다는 식이어서는 곤란하다.
우리는 이번에 일선 교육자나 학계가 2세들에 대한 「도덕과 윤리」 교육의 강화를 주장하지 않고 있는 점에 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 지금 나날이 살벌해가고 황폐해가고 있는 우리사회를 근본적으로 치유 하려면 어릴때부터 집중·중점적으로 인성교육을 해야 할 필요가 절실한 것이다. 세계제일의 자원과 앞서가는 과학기술을 보유한 미국이 「세계를 이끈지 1세기」도 채 안돼서 그자리를 위협당하며 허둥대고 있는 근본이유를 따져 본다면 2세들에 대한 「도덕·윤리교육 부재」가 핵심 원인중의 하나였다는 것을 우리는 타산지석으로 삼을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2세교육을 위해 교과이기주의는 단연 삼가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