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비산염색공단 조업정지 처분을 둘러싼 소동을 보고 있노라면 「소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을 실감하게 된다.대구상공회의소 및 염색공단 입주업체들은 환경처가 염색공단의 가동을 중단시킬 경우 1만2천여 공단근로자를 비롯한 관련업체 종사자 10만여명이 실직하고 월 4억3천만 달러의 수출차질 등으로 지역 섬유업체들의 연쇄도산과 함께 국가경제에도 막대한 손실을 끼치게될 것이라며 환경처의 조업정지 행정조치를 유예시켜달라고 7일 관계기관에 건의했다.
일견 이들의 주장은 타당성이 있어 보인다. 무역적자가 갈수록 큰 덩치로 커지고 있어 수출에서 적지않은 비중을 차지하는 염색제품의 생산차질은 수출신장에 타격을 줄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은 지극히 이기적이고 단견적인 발상에서 비롯됐다는 느낌이 짙다.
염색공단은 환경처의 폐수시설 개선명령을 받을때마다 폐수정화 시설의 투자 및 운영비보다 싸게 든다는 얄팍한 계산만 앞세워 배출부과금을 물고 단속을 피하는 비뚤어진 이윤추구 태도만 견지해왔다.
낙동강 수질이 오염되든 말든 대구를 비롯한 경·남북 시민의 건강이야 어떻게 되든 관심밖의 사항으로 치부해왔다.
이들은 또한 섬유경기가 활황을 보일때도 지역경제의 중추인 공단을 감히 조업정지 시키겠느냐는 배짱으로 폐수처리 시설투자에 인색했다.
이는 지난 83년이후 지금까지 생산시설이 5배이상 급증했음에도 폐수처리 시설은 고작 두배남짓 확장했고 84년이래 12차례나 고지된 폐수배출 부과금을 기꺼이 물어왔다는 사실에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특히 공단이 조업중지될 경우 지역경제가 파산상태에 이를 것이란 이들의 주장도 발등에 떨어진 불만 끄고 보자는 엄살성 변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즉 공단이 환경처로부터 조업정지 처분을 당하더라도 현재의 7부제 조업을 5부제로 강화하면 폐수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져 50% 이상의 공장이 계속 가동,지역경제에 심각한 타격은 주지 않는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이같은 점에서 볼때 그간 기업의 영세성을 고려하더라도 기업이윤만 앞세우고 국민건강을 도외시해온 염색공단에 대해 당국이 결연한 의지로 대처해야 한다는게 뜻있는 시민과 환경론자들의 주장이다.
또한 공단측은 배짱과 엄살로만 일관하지 말고 차제에 근본적인 폐수방지 시설을 증설하고 정상가동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염색공업이 맑고 깨끗한 환경속에서만 발달할 수 있다는 것은 상식이다. 자기사업의 터전을 스스로 망가뜨리면서 사업이 번창할 수는 없는 법이다.<대구>대구>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