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혹은 동구권은 한국경제의 도약대가 될수 있는가. 소련사태의 여파에 따른 국내 B전자의 부도보도는 여러점에서 앞날을 예고하는 신호같다.소련은 불가분의 중요 국가이지만 분명히 혼동치 말아야할 점이 있다.
즉 그들은 경제적 투자에 대해 확실한 보증을 않고있다. 지난 8일 프랑스 텔레비전에 등장한 셰바르드나제 전 소련외무장관은 『광대한 시장의 가능성을 헤아려 투자하라』고 요청했지만 보증문제는 얼버무렸다.
소련은 과연 어느 정도의 지원을 필요로 하나. 「카타스트로이카」(파국의 페레스트로이카)를 쓴 극단적인 소련 반체제 작가 알렉산데르·지노비예프는 『고르바초프와 옐친이 최근 미국에 요청한 1천5백억달러를 소련국민 3억명의 이빨을 고치는데만도 모자란다』고 혹평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한국이 지구적 규모의 발전전략속에서 소련과 동구의 능력을 냉정히 봐야한다는 점이다.
수출밖에 딴길이 없는 우리에게 세계의 3대 시장은 미국과 서구 일본이다. 이는 상당기간 계속될것이다.
우리에게도 널리 알려진 일본의 저명한 경제평론가는 「사요나라 아시아」라는 저서에서 일본 번영의 한 이유로 탈아시아 전략을 꼽았다.
일본이 아시아 시장에 만족했다면 오늘날 세계를 석권하는 일본 상품의 일류화는 없었으리란 분석이다.
이 지적은 아마 우리에게 더 적확한지 모른다. 세기적 전환의 물결속에서 한국경제의 성장전략을 2류 상품에 만족하는 2류 시장에 둔다면 우리의 설땅은 개도국의 추격으로 완전히 없어지고 우리는 영영 2등국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한국경제는 돈의 논리를 따라가야 한다. 소련의 광대한 시장을 모를리 없는 일본이 느긋한것은 언젠가 그들이 초대받을수 밖에 없다는 확신때문이다.
한국경제의 활로에 품질고급화이외의 묘책이 없다는 점에서 우리에겐 소련원조보다 중소기업의 기술 향상 자금이 더 절실하다.
한국은 소련의 지원에 결코 「능력의 극대화」를 할 필요성도 없고 또 그럴 이유도 없다. KAL기를 떨어뜨리고 6·25를 사주한것도 그들인데 남이 춤춘다고 덩달아 흔들어댈 필요야 없지 않은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