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는 아직도 천재지변을 정치·사회적 대변화의 전조,또는 응징으로 보는 의식이 뿌리깊게 남아있다.지난 76년의 당산 대지진을 두고 지금도 많은 중국인들은 모택동 사망4인방체제의 몰락과 관련시켜 생각하고 있다.
농촌 문맹사회뿐 아니라 고등교육을 받은 대도시 주민들 사이에도 이같은 「미신」의 뿌리는 여전하다고 한다.
지난 6월 상순부터 두달이 거의 다되도록 중국의 중·동부지역을 휩쓴 폭우와 홍수가 이번주 들어서도 동북지역을 계속 강타,엄청난 피해를 내고 있다.
홍수의 한편에선 한해도 극심해 하북·하남·산서·산동·강서 일부지역에서 8천4백만묘(약 8만2천㎢)의 경작지가 올해 농사를 포기해야 할 것으로 집계됐다.
자연재해를 사회·정치 현상과 결부시키려는 것이 미신이라 하더라도 과거 중국의 왕조흥망사를 돌이켜보면 통치력의 위기가 왕왕 자연재해로 더욱 촉진되거나 또는 가시화됐던 사실만은 외면하기 어렵다.
이런 점에서 이미 6.4천안문 사건이라는 대규모 민중항쟁을 겪은 북경의 지도자들이 민심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것은 우연이 아니다.
작년부터 시작된 6대 사회악제거(제육해) 운동에도 「미신타파」가 한 항목으로 들어있다.
그러나 유언비어나 뿌리깊은 미신을 생각처럼 쉽게 없앨수만은 없다. 통치력과 치수문제를 결부시켜 생각하려는 전통적 사고에 비춰서도 이번 재해는 금년말 8중전회와 내년의 14차 공산당 전당대회를 앞둔 북경의 정국에 어차피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먼저 올해들어 다시 대세를 잡아가는듯 싶던 경제개혁부터가 큰 타격을 받을 공산이 커졌다.
중국경제서 여전히 절대적 비중을 갖는 농업의 타격,재해복구비 부담과 겹친 재정적자의 악화,인플레의 가중 등은 물가개혁,국영기업자율권 확대 등 경제제도의 개혁을 어렵게하고 이는 곧 정치적 파장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
내년 14차 당대회로 예정돼오던 당정지도부 개편이 앞당겨질지 모른다는 추측과 함께 벌써부터 당내 보수·개혁세력간 권력투쟁의 조짐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와관련,자신의 사후에 대비한 마지막 인사개편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온것으로 알려진 등소평의 건재여부,그의 「홍수의 정치력」인 관심의 표적이 되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