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위기 느슨한 연방제로 해결 가능”/“대다수 국민 안정희구 극단세력은 소수/자체해결 못할땐 서방의 적극 중재 필요”내전 발발의 벼랑 끝까지 몰렸던 유고슬라비아 사태는 1일 스티페·메시치 전 크로아티아 공화국 총리의 연방간부 회의장(대통령) 선출과 연방군의 철수결정을 계기로 일단 최악의 고비를 넘겼다.
그러나 뿌리깊은 민족간 갈등요인을 배경으로한 유고의 현 위기상황이 평화적으로 해결될 가능성은 여전히 희박하다는 비관론도 만만치 않게 제기되고 있다.
이처럼 비관과 낙관이 엇갈리는 시점에서 동유럽의 대표적 지성으로 존경받고 있는 밀로반·질라스 전 유고부통령(80)은 조국 유고의 장래에 대해 매우 밝은 전망을 밝혀 주목을 받고 있다.
40년대 유고의 국부였던 티토의 측근으로 권력서열 제2인자의 지위에까지 올랐다가 50년부터 반체제 인사로 변신한 질라스는 이미 지난 69년 「새로운 계급」이란 저서를 통해 공산권의 몰락과 공산주의 이념의 퇴조를 예견한바 있다.
질라스는 6월30일자 파이낸셜 타임스지와의 회견에서 향후 유고는 보다 느슨한 연방제를 채택함으로써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하나의 국가로 존속할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의 회견내용을 요약한다.
『유고는 지금 분명 심각한 위기상황에 처해있고 앞으로도 당분간 공화국간의 충돌은 계속될 것이다. 그러나 유고의 현 위기상황은 결코 내란이 아니며 내란으로 비화되지도 않을 것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의 여론이 이를 허용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유고군부와 정치 지도자들이 평화적 해결방안을 찾는데 실패한다면 그때는 서방이 직접 개입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유고에는 대다수 국민을 포함한 두터운 안정세력이 형성돼 있으며 내란을 부추기는 극단적인 민족주의자들은 소수에 불과하다.
이런 관점에서 유고연방군의 개입은 유고의 국경과 단결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로 정당한 행위였다고 본다. 하지만 현 분열상태의 완전한 타결을 위해서는 서방의 도움이 필요할 것이다. 여기서 외교적 압력이나 차관동결 같은 수단만으로는 불충분하다.
개인적인 견해지만 서방 각국은 유고에서 내란이 발발할 경우 나토군을 파견할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해야 한다.
누구나 아는 바이지만 유고는 1차 대전의 진원지였다. 당시 현재의 유고 영토를 둘러싸고 첨예하게 대립했던 러시아 독일 오스트리아 3국은 지금 각자의 국내 문제를 처리하기에 바쁜 실정이다. 이런 점에서 역사가 반복될 위험은 적은 편이다.
반면 유럽공동체(EC)나 전 유럽안보협력회의(CSCE)와 같은 기구가 유고의 분열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특히 지난 6월초 베를린 회의에서 유럽의 안정에 위협이 될수 있는 회원국들의 정국불안에 적극 개입키로 결정한 CSCE가 유고사태의 중재자로 큰 역할을 하리라고 기대한다.
CSCE의 중재는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등 독립을 선포한 공화국들의 자치권 확대 요구를 수용함으로써 유고를 보다 느슨한 형태의 연방국가로 재편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다.
현재의 연방국가 형태를 고수하려는 세르비아공화국도 결국은 보다 느슨한 형태의 연방제 도입에 찬성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럴 경우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공화국도 연방정부의 효율적인 기능 수행을 위해 현재의 중앙 정부 권한중 일부를 존속시키는데 동의하는 양보를 하게 될것이다.<김현수기자>김현수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