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번 듣는다해도 한번 내눈으로 보느니만 못하다」해서 「백문이 불여일견」이라 했다. 18일 청와대에 전국 30개 대학총장들이 초청된 오찬회에서 대학생들의 북한 방문이 논의됐다. 이날 서강대의 박홍총장은 『대학생들이 북한의 실체를 직접 보도록』 그 수가 몇천명이 되더라도 무제한 방북의 길을 터주는게 좋겠다고 제의했다. 이에 대해 노태우 대통령은 『북한에 대학생들을 과감히 보내는 방안을 점진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대학생의 북한 방문문제가 거론된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6·29선언 이듬해인 88년 6월 소위 「남북학생회담」 시도가 파문을 던진직후,야권이 제기한 「남북학생교류」를 정부·여당도 추진키로 작정한 일이 있었다. 이에따라 정부는 남북종단 국토순례와 교환경기를 내용으로 하는 교류안을 내놨으나.「전대협」 측에서는 다시 남북학생 회담을 내걸고 과격데모로 정부와 맞섰다. 정부는 이어서 남북대학생 교류추진위원회를 구성했으나 평양축전 참가문제를 둘러싸고 전대협이 맞서,문제는 임수경양과 문규현 신부의 「밀입북」 문제로 발전 했었다.
그동안의 경위가 갈피를 잡지못할 만큼 복잡한 우여곡절이 있었지만,적어도 공식적으로는 정부가 남북 대학생의 교류를 정책목표로 채택했던 것을 다시 기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는 지난해 8·15를 전후한 닷새동안을 「민족대교류」 기간으로 선언,「무제한 방북」을 허용한다고 밝힌일도 있다. 북한이 유엔에 가입하기로 작정한 뒤를 이어 핵사찰 수용을 계기로 남북관계가 새로운 국면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은 뻔한 일이다. 다만 북한이 굴욕적인 정책전환을 호도하기 위해 당분간 이율배반적인 강경책을 쓸 가능성도 예상할수 있다.
그러나 어떤 형태로든 긴장완화를 위한 교류관계를 차츰 확대시켜야 될 상황을 북으로서도 승복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우리로서도 이러한 사태진전을 전제로 각 분야의 교류 시나리오를 치밀하게 짤 필요가 있다.
남북 대학생의 교류는 이미 묵은 의제라고 할수 있다. 그러나 주변여건이 2년전과 다르고,지난해와 다를 만큼 급변하고 있는데 유의해서 새로운 자세로 모든 가능성을 재검토해야할 것이다. 특히 대학생들의 북한 방문은 성숙한 현실 판단을 위한 현장교육이라는 측면도 중요하다. 물론 대학생의 북한 방문 허용이 지난해의 일방적인 민족대교류선언의 경우처럼 또 다른 「일방적인 해프닝」의 인상을 주지않도록 신중하기를 기대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