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선난 추측은 시일많아 무리/여론 밀린 섭섭함·효과등 감안/정가선 원로형·정치성 실무형 여부에 촉각○…노태우 대통령이 후임총리인선에 장고를 거듭하고 있다. 내각을 지휘통솔하는 국무총리의 퇴진이 결정된뒤 만 2일이 지났음에도 사실상 유고상태가 계속되고 있는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어서 그 배경에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총리유고 상태의 장기간 지속이 「인물난」때문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지만 이는 표면상의 형식논리에 불과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같은 견해를 뒷받침하는 것은 노대통령이 노내각 사퇴를 갑작스럽게 결정한 것이 아니라는데서 비롯된다. 노내각 퇴진결정은 오랜기간의 고심끝에 이뤄진 것이며 그사이 후임총리 인선에 대한 충분한 복안이 있었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여권관계자들은 노대통령이 내각사퇴를 결정한 이후의 기간을 10일정도로 잡고 있어 후임자인선의 시각적 여유가 충분했을 것이라고 보고있다. 따라서 노태령은 후임총리의 윤곽을 이미 잡아놓고 있다는 것이다.
노대통령이 후임총리인선에 이처럼 장고하는 배경은 두가지로 관측된다. 하나는 어쩔수없이 여론에 밀려 노내각을 사퇴시켜야 하는데 대한 섭섭함의 표시라 할 수 있다.
노총리가 임명된지 불과 5개월 미만인데다 노대통령이 그를 비서실장에서 국무총리로 기용한것은 향후의 국정운용은 물론 여권의 역학관계까지를 기대한 비장의 인물카드 였다는 것이다.
섭섭함의 표시속에는 노총리 퇴임의 매듭을 매끄럽게하려는 원려와 심사의 배려가 있을법도 하다.
둘째론 시간벌기를 통해 민심수습의 효과를 높이는 한편 개각의 상징성을 총리직에 국한시켜 개각의 폭을 가능한한 최소화하려는 계산일수가 있다.
실제로 청와대 관계자들은 『국무총리를 경질 한다면 구태여 부처장관들을 교체할 필요가 있겠느냐』면서 대폭 개각에 회의적 입장을 감추지않고 있다.
이밖에도 이번 개각이 여론이나 정치권의 압력에 밀려 일방적으롱 행해진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기위한 것일수도 있다.
○…개각이 초읽기에 들어갔으나 하마평만 무성할뿐 윤곽조차 드러나지 않고 있다.
후임 총리에 원로급이 기용될 것인지 아니면 6공 후반기 정국운용 및 후계구도와 무관치않은 실무형인사가 등장할 것인가에 대해 정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원로급인사 기용설은 민자당 내부의 복잡한 기류 및 야권의 내각총사퇴 공세분위기 등을 고려,정치권의 외풍을 막아야하며 민심수습차원에서 덕망있는 인사가 시기적으로 부합된다는 점에 근거하고 있다.
이는 50대의 노총리를 기용한 결과 그의 정면돌파형 업무스타일과 적극적인 추진력이 야권으로부터 공안통치라는 반감을 유발한데다 여권일각에서도 거부반응이 제기됐다는 대목과 일맥 상통한다. 특히 그가 후계군으로 지목됨으로써 두 김씨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공격」을 받았다는 사실도 총리후임인선에 참고가 될 것같다.
따라서 50대 실무형보다는 60대의 덕망있는 인물이 기용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김영삼 민자대표가 22일의 긴급고위당직자 회의에서 『총리는 실무형보다 국정을 보좌하고 국민들에게 상징적인 인물이어야 할것』이라고 언급한 것이나 청와대 고위당국자가 『원로급과 실무형을 모두 검토하고 있으나 원로급서 후임자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귀띔한 사실 등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당내 인사를 제외한다면 고흥문 전 국회부의장 이한빈 전 부총리 최경록 전 주일대사 민관식 전 국회의장 대리 김준엽 전 고대총장 현승종 교총회장 등이 원로급인사로 분류되고 있다.
이에반해 노대통령이 개각단행에 장고를 거듭하고 있는것은 원로급인사기용 보다는 50대 후반의 정치력을 갖춘 「실무총리」에 주안점을 두고 있기때문이라는 관측도 적지않다.
후임총리는 우선 6월의 광역의회선거를 치러야하고 후계구도를 둘러싼 여권내부의 미묘한 기류와 나아가 6공후반기 정국구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등 추진력과 정치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같은 진단은 노대통령이 지난해 연말 노총리를 기용한 배경과 정치권의 공세로 결국 이번에 「중도하차」하는 노총리에 대해 아쉬움을 떠나 고심까지 하고있다는 사실과 무관치 않다.
실무형 인사로는 최광수 전 외무장관 정원식 전 문교장관 조순 전 부총리 최호중 부총리 최영철 청와대 정치특보 등이 거명되고 있다.
그러나 원로급인사와 실무형 인사중에서 필요 충분 조건을 갖춘 인물이 드물어 아예 절충형 인물이 차선책으로 기용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예컨대 이용희 전 통일원 장관이나 이원경 전 외무장관 등이 이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후임에는 영남 출신과 군출신 인사가 배제된 가운데 원로급 인사중에서 발탁될 가능성이 유력하나 실무형이나 절충형 인사중에서 기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조명구기자>조명구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