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선두 YS… 경선·내각제가 변수/여권후계구도(한국일보 월요포럼)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선두 YS… 경선·내각제가 변수/여권후계구도(한국일보 월요포럼)

입력
1991.04.15 00:00
0 0

◎김­박 최고위원 「후견인­대타」 역할기대/이종찬­박철언­노 총리 「히든카드」 부각여권핵심부는 현대통령의 임기가 2년 가까이 남아있기 때문에 후계자 언급이 성급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이미 오래전부터 이를 공공연하게 거론해오고 있는게 우리의 엄연한 정치현실이다. 특히 박철언 체육청소년부장관의 타의에 의한 월계수회 고문직 사퇴는 여권후계구도의 중대변화로 해석되는게 일반적인 추세이다. 여권의 후계경쟁반열에 서있는 인사는 누구며 어떠한 변수와 난관을 극복해야 대망을 이뤄낼수 있을까. 어쩌면 변화무쌍 할수밖에 없는 우리의 정치상황은 지금단계에서의 예상과 추측을 완전히 빗나가게 할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현상황에서 후계구도를 둘러싼 여러 경우를 점검해 보면 바로 우리 정치권의 현주소가 분명히 드러날 것이기때문에 반드시 무익한 일도 아닐 것이다.

○후계자 군

후계자가 확정되기까지는 여러명의 가능성있는 후보자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예상밖의 인물이 등장할 수도 있지만 현단계에서는 일단 몇가지 「경우의 수」를 가지고 후계반열에 오른 인물들을 짚어 볼수있다.

우선 3당통합의 대전제인 내각제개헌 추진을 무력화시킨뒤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김영삼 대표가 가장 확실한 선두주자임은 분명하다. 김대표보다 대중적 지지기반은 약하지만 오랜 정치경륜과 범여권에서 거부반응이 적은 김종필 최고위원과 박태준 최고위원도 역시 후계자중 하나.

김대표는 합당후의 당내분과 내각제 파동 등을 거치며 표면상의 세는 다소 강화됐지만 민정·공화계와의 마찰로 반YS세력을 확산시킨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나 자신의 대권가도에 최대걸림돌인 박철언 장관의 월계수회절연을 후계구도의 사전정지 작업으로 해석하고 있는 김대표는 상당기간 「공세의 고삐」를 늦추며 내부적인 세굳히기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김대표는 민정·공화계에 뽀족한 대안이 없고 정권재창출을 하자면 자신이 「유일한 카드」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

김대표의 조기 후계지명요구에 반발하고 있는 민정·공화계측의 기류에 동조하고 있는 김종필 최고위원은 민정계가 차선책의 대안으로 옹립하기 전에는 대권주자가 될 가능성은 희박한편.

그는 아직도 내각제개헌에 강한 집착을 버리지 않고 있어 권력구조변화없이 현행대로 후계구도가 결정될경우 민정·공화계의 연합세력형성에 후견인 역할을 하거나 민정계의 뉴리더를 지원할 가능성도 있다.

박태준 최고위원이 월계수회 파문이후 활기를 띠며 민정계를 중심으로 당내 결속에 나서고 있는 것도 주목된다.

민정계에선 그가 김영삼·김대중 두김씨에 맞설만한 대중성은 없지만 유사시 김대표와 대결할 민정계의 「대타」로 옹립하자는 의견도 있다. 또 민정계 후보단일화 과정에서 거중조정을 맡는 「병풍역」을 할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세최고 위원을 추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뉴리더 그룹으로는 이종찬 의원과 박철언 체육청소년부장관,노재봉 총리를 들수 있다. 이 가운데 만만찮은 잠재력과 야망을 키워온 이종찬 의원이 선두주자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온건과 개혁노선의 표방,그리고 자신의 부단한 노력으로 대중적 인기를 갖추고있는 이의원은 민정계의 후보단일화과정과 당내 경선의 문턱이 최대고비인 셈이다.

월계수회 고문직을 사퇴한 박철언 장관도 현시점에선 입지가 약화된 것은 분명하나 6공 출범이래 그의 막후역할과 「행동반경」을 감안할때 후계자군에서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여권핵심부의 후반기 「정국구상」이 추진되거나 여권내부에 중대변화가 닥쳐올 경우 박장관이 정치중심권으로 재등장할 가능성이 적지않다는 추측이 많다.

노대통령과의 두터운 신뢰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노재봉 총리도 예상외의 다크호스로 등장할 가능성도 없지않다. 그는 누구보다 노대통령의 의중을 꿰뚫어보고 있는 만큼 평소의 새로운 정치질서 변화·권력의 비집중화 주장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밖에 김윤환 총장은 자신이 직접 나설것이라기보다 막후조정 또는 대권주자중 유리한 인사를 밀거나 내각제 개헌이후를 계산하고 있는듯하며,이한동 의원은 당내에 세력이 형성돼있지 않은데다 자신의 구체적 복안을 밝히지않고 있어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되고 있다.

○시기와 방법

민자당은 후계문제에 대해 표면상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6월로 예정된 광역의회 선거가 다가오고 있고 월계수회 파문때문이다.

그러나 민주계는 조기승부를 서두르며 광역의회선거가 끝난 뒤 7,8월께 김대표의 당권강화 및 후계구도 가시화에 따른 임시전당대회 소집을 요구해놓고 있다.

다만 최근 박장관의 「세하락」이 계파를 초월한 범여권의 결속강조에 있다는 여권핵심부의 의중을 파악하고 당분간 자제하며 청와대측의 기류와 민정·공화계측의 동향을 주시하겠다는 생각이다.

따라서 당초 예상됐던 「결전의 시기」가 9월이후로 잠정유보될 것이라는 관측이 가능해진다.

민주계의 속셈은 14대총선 (92년 2월께)전에 김대표로의 세를 굳힌다는 것이나 여권핵심부 및 민정·공화계측은 당헌규정대로 14대 총선후인 92년 5월께 민주적 절차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시기에 대한 상반된 입장때문에 이에 대한 결판여부는 오는 9월이후 예상되는 몇가지의 「돌발변수」를 지켜봐야 할 것같다.

자유경선이 이루어질 경우 현실적으로는 김영삼 대표와 민정계가 내세운 인사간의 표대결이 불가피하다는게 지배적인 관측.

물론 김대표와 민정·공화계가 연합,옹립한 인사,또는 김대표와 민정계가 외부에서 영입한 인사간의 각축전도 예상할 수 있다.

극단적으로는 경선을 내심 원치않는 김대표가 경선방식에 반발,탈당후 민정·공화계 인사끼리 대결하는 상황도 예상해볼 수 있다.

○여러 변수들

여권의 차기대권주자 결정작업은 집권세력 사상 초유의 실험이어서 무수한 변수들이 난마처럼 얽혀있다고 보는것이 정확하다.

5공 당시 전두환 대통령으로부터 노태우 민정당 대표에서 무리없이 바통이 넘어간 예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지금의 상황은 그때와는 판이하다.

무엇보다 여야3당이 통합을 했고 나아가 한 인사(김대표)가 대권도전의지를 공공연히 밝히고 있으나 범여권의 의사는 통일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후계구도의 전개과정에는 예측불허의 변수가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후계구도를 확정하는데 있어 관건은 역시 노태우 대통령이다.

그가 비록 단임이긴하나 정치권력의 속성이나 현여권의 생리에 비춰볼때 그의 의중과 복안이 결정적 역할을 할것임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이 경우 노대통령은 당장 문제가 되고 있는 통치권 누수현상 들을 고려해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의원내각제개헌이 재추진될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어서 상황이 더복잡해질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김대표의 선택을 들수 있다.

만일 자신이 후계자로 확정되지 않거나,확정될 전망이 불투명할때 탈당가능성을 비춰온 김대표의 실제 행동여부가 주목된다.

다만 노대령이 김대표 중심의 당권을 명시적으로 강화해 총선을 치르게하거나 자유경선시 민정계 일부인사들의 「도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김대표로서는 제3의 선택으로 선회할 공산도 없지 않다.

김대표 다음으로 중요한 변수는 민정계의 향배.

노대통령이 완전한 자유경선 방식을 택하고 이에 김대표가 동의할 경우엔 민정계의 향배가 대세를 가름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현실여건상 민정계가 노대통령의 의사가 관계없이 별도행동을 취할 수 있느냐는데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김종필 최고위원의 역할도 빼놓을 수 없는 대목.

김대표와 민정계가 정면충돌하는 상황까지 발전하면 김최고위원의 거중조정이나 선택이 지렛대로 작용할 수 있다.

월계수회 고문직을 물러나긴 했지만 박철언 체육청소년부 장관의 거취도 여전히 중요하다. 대권주자 경쟁대열에서 다소 후퇴한듯 하지만 그가 여권에서 차지해온 비중 등을 감안하면 후계구도에 직·간접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도 있개 때문이다.

일부에서 신당 창당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진 5공 세력의 목소리도 무시하기 어려운 변수이다.

다소 역설적이긴 하지만 야권,그중에서도 김대중 신민당 총재가 여권의 후계구도에 얼마간 영향을 줄 여지도 있다. 예를 들어 신당으로 탈바꿈한 그의 대중적 지지기반이 지금까지의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거나 반대로 더욱 줄어들 경우 민정계를 중심으로한 여권인사들에게 후보선택이나 개헌문제 등과 관련해 새로운 변화를 유발하게 될수도 있다.

또 지자제 광역의회 선거결과와 금후의 급변할 정치상황이 후계구도를 새로운 국면으로 몰고갈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김종래·조명구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