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성」 반영률·고사과목 제각각땐/고교 「특정대반」 운영 등 파행 소지/내신상향도 학교간격차로 논란일듯교육부가 21일 골격을 확정한 대입시개선안은 81학년도부터 사라진 대학별 고사를 부활하고 적성시험·대학별 고사의 반영비율을 대학이 결정하도록 하는 등 대학자율의 신장이 상당히 강조된 방안이다.
그러나 개선안이 대학자율성 신장이라는 의미와 가치에는 부합된다 할지라도 실제적용에 있어서는 많은 부작용과 혼란도 예상돼 완전 정착되기까지는 수정과 보완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개선안은 노태우 대통령이 지난 8일 연두기자회견에서 밝힌 것과 달리 적성시험결과를 모든 대학이 반드시 반영하도록 해 수험생의 입시부담을 덜어주지 못하고 있다. 수험생들은 적성시험과 대학별 고사의 성격이 다른만큼 두 가지 시험에 대비한 공부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또 대학별 고사가 그 동안 마련됐던 기존 개선안과 달리 2개 과목 이내와 총점의 30% 이내로 제한되지 않고 대학이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목수와 반영비율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과열입시경쟁을 진정,고교교육을 정상화하겠다는 교육개혁의 당초 목적과는 상반되는 결과를 낳지 않을까 우려된다.
2차례의 적성시험을 실시,보다 나은 성적을 적용한다는 취지 역시 긍정적인 면은 있지만 한차례 입시에도 전국이 엄청난 몸살을 앓는 현실과 국가의 시험관리능력을 감안할 때 과연 여론의 환영을 받을 수 있을지도 회의적이다.
대학자율에 따라 입시요강도 제각각이 될 것이다. 교수진이 풍부해 시험관리능력이 있는 대학은 극단적인 예를 들면 「내신 40%+적성시험 10%+본고사 50%」의 선발방식에 의해 학생선발권을 최대한 활용하려 할 것이다. 이에 비해 여건이 미비한 군소대학들은 아예 본고사를 치르지 않고 「내신 40%+적성시험 60%」만으로 선발,결과적으로 일부대학은 선시험 후지원 방식을 채택하는 셈이 돼 눈치경쟁이 재연될 소지가 있다. 그럴 경우 적성시험무용론이 제기되고 교육부는 대학당국이나 대학협의체에 적성시험 반영비율을 높이도록 종용,다시 대학자율을 침해하는 악순환이 우려된다.
지원대학결정에서도 수험생들의 상당한 혼란이 예상되는데 각 고교가 대학마다 각각 다른 요강에 맞추다 보면 사실상 특정대학반을 운영하는 등 고교 교육이 비정상적으로 흐를 수도 있다.
전기입시에 실패한 수험생이 후기대를 결정할 때도 선택의 폭이 줄어들게 될 것이다.
내신성적반영 비율을 현행 30% 이상에서 40% 이상으로 상향조정한 것은 고교 교육의 정상화와 자주성,전인교육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지역,학교에 따라 엄연히 존재하는 실력격차를 더욱 무시함으로써 대도시학교의 반발이 우려된다.
교육부가 88년부터 연구해온 대입개선안이 최종 확정발표 직전에 대통령연두기자회견을 계기로 대폭 수정 발표됨으로써 혼란도 가중되고 있다. 당초안은 「내신 40% 이상+적성시험 30%+본고사 30% 이내」의 골격에 본고사 실시여부만 대학자율에 맡기는 것이었다. 그러나 노 대통령이 대학자율을 강조함으로써 공청회까지 거친 개선안이 갑자기 수정보완되었고 그 사이에 충분한 협의도 없었다.
개선안은 중앙교육심의회와 신설될 대학교육심의회를 거쳐 2월21일까지 구체적으로 확정될 예정이어서 각 대학들이 입시요강을 자체적으로 마련,신학기초까지 공표하기에는 시일이 촉박하다.
게다가 교육부가 아직도 적성시험의 표준모델 개발을 완료하지 못해 이 시험의 실체가 모호하고 지난 연말 고 2년생 2천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적성시험 모의고사 문항과 분석결과를 공개않고 있어 각 대학이 3월까지 발표해야 될 94학년도 입시요강 확정에 애를 먹고 있다.
결국 대학자율에 따른 부작용과 역기능을 최대한 보완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일이 완전대학자율입시로 가는 관건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한기봉 기자>한기봉>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