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선거서 반민자 돌풍 기대/지역한계성·인물난 극복이 최대 난제/야권통합·재편성도 선거결과에 달려야권은 91년 정국을 일단 기대 속에서 맞으려 하고 있다. 야권으로서는 승리까지는 모르지만 별로 손해볼게 없는 지자제선거가 있고 여권이 아직도 3당합당의 후유증에서 완전히 깨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야권이 통합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지자제선거에 대한 확신이 어렵고 여권의 우여곡절이 야권에 예기치 못할 파급효과를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없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힘들게 얻어낸 지자제선거라는 「국민심판의 장」이 열려있고 여권이 집권후반기를 맞아가고 있다는 점 등은 일단 야권의 기대를 부추기고 있다.
야권은 우선 지자제선거를 3당합당에 대한 국민여론의 심판대로 삼아 반민자 공세를 최대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들어 항상 선거결과가 예상을 크게 빗나갔고 선거 이후 예측 불허의 상황이 전개되곤 했다는 점 등을 감안해 볼 때 지자제선거 역시 그러지 말라는 보장이 없다는 계산이다. 일각에서는 야권이 뚜렷한 대책도 없이 지자제선거 역시 그러지 말라는 보장이 없다는 계산이다. 일각에서는 야권이 뚜렷한 대책도 없이 지자제에 대해 너무 낙관을 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없는 것도 아니지만 해볼만한 싸움이라는 데는 별다른 이의가 없는 것 같다.
야권은 지자제선거를 통해 민자당에 대한 국민지지의 현주소를 노출시킨 뒤 그 여세를 몰아 수권태세에 들어가겠다는 것이다. 지난 87년 천재일우의 기회를 놓쳤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만큼은 어떤 경우에도 야권의 숙원을 쟁취시켜야 하고 그 토양을 91년에 다져놓겠다는 것이다. 지자제를 겨냥해 가장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야권은 유일 야당임을 자부하고 있는 평민당.
평민당은 지난해 정기국회가 끝난 뒤부터 본격적인 지자제준비에 착수해 지자제선거에서 93년 고지를 노리는 정면승부를 걸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김대중 총재가 지난 연말에 재야 일각에서 본격 제기된 평민당의 발전적 해체를 전제로 한 「범야신당」 창당주장에 대해 『평민당 이름 아래 지자제선거를 치르고 선거가 끝난 뒤 범민주세력 규합방안을 본격 검토해 보겠다』고 말한 것오 이같은 입장을 대변해주고 있다.
평민당은 호남지방 압승은 물론 서울에서 87년 대통령선거 때와 4·26 총선때 1위를 한 득표율 30∼35%선을 좀더 높인 뒤 취약지방인 영남지방에서 무소속 후보지원과 다른 야세와의 연합공천 등을 통해 김 총재의 대권구도를 구체화시킨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이 경우 평민당이 극복해야 할 최대난제는 철벽처럼 버티고 있는 지역감정과 야당의 구조적 숙제인 인물난이다.
평민당이 평민당 이름으로 지자제선거를 치르겠다고 공언했기 때문에 이같은 난제는 좀더 심각해질 공산이 크다. 게다가 선거구제가 소선거구제여서 이같은 문제점이 더욱더 첨예화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평민당 일각에서는 여권이 경우에 따라서는 지자제선거에서 지역감정과 현정치구도의 불합리한 측면을 노골적으로 부각시킨 뒤 이 책임을 김영삼·김대중 두 김씨에게 돌리려 들 것이라는 점을 경계하는 시각도 있어 지자제선거에 임하는 입장이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는 측면도 있다.
그런가 하면 민주당은 야권통합의 실패와 등원거부 결정으로 인한 원내전략의 실기 등 지난해의 시련을 지자제에서 만회하려 벼르고 있다. 문호개방의 자세를 취해 통추회의의 민주연합파 등 반평민당 세력을 포용해 지자제에 대비한 가용인력을 확보하고 평민당에 가기 어려운 반민자당세력을 규합해 보겠다는 것이다. 또 85년의 12·12총선 때와 같이 기성정치에 식상해있는 유권자들의 반사적 지지도 크게 기대하고 있다.
민주당은 지자제서거를 통해 녹지않은 모습을 보여준 뒤 이 분위기를 평민당을 겨냥한 야권통합 쪽으로 몰고 가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난해 보았듯이 민주당의 더딘행보와 구조적 취약성이 이같은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할 수있을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다.
야권이 지자제선거와 함께 넘어야 할 또다른 고비는 범야세력의 단결,즉 야권통합이다.
야권통합에 적극적인 인사들은 「야권통합이 없는 한 수권은 백년하청」이라고 까지 말하고 있다.
평민당이 평민당 이름으로 지자제선거를 치르겠다고 공언했기 때문에 지자제선거전의 통합은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지자제선거 후에 또다시 모색될 야권통합 움직임의 형태는 지자제선거결과와 밀접한 함수관계에 있을 수밖에 없다.
평민당이 지자제선거에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경우 평민당이 중심이 되는 흡수통합 움직임이 있을 것이고 그렇지 못할 경우 민주당과 재야가 앞장서는 기존 정당포기를 통한 대등통합주장이 세를 얻을 것이다. 또 선거결과가 어느 누구도 승리를 주장할 수 없는 애매한 것으로 판명될 경우 통합움직임 역시 지지부진해질 수밖에 없다.
야권통합은 이미 지난해 경험해 보았듯이 지난한 일임에 틀림없기 때문에 통합불발에 실망한 야권세력이 여권의 세대교체주장과 맞물려 정계개편의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여야가 정국운영에서 상관관계에 있음을 감안하면 차기대권을 둘러싼 여권의 「풍운조화」가 야권의 행보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도 고려에 넣어야 한다.
따라서 91년의 정국이 예측불허로 전개될 것이라는 사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야권이라고 해서 예외가 아니다.
다만 김대중 총재라는 부동의 대권주자가 있고 평민당이라는 구심체가 있다는 점이 여권과 다를 뿐이다.<신효섭 기자>신효섭>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