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수해 무엇이 문제인가/「내수처리」 소홀 침수 “무방비”/범람만 신경 하수관ㆍ유수지시설 태부족/배수펌프도 용량 낮아 집중호우엔 한계해마다 연례행사처럼 찾아오는 수해가 올해는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역을 강타하고 있다.
「어쩔 수 없는 기상이변」이라는 주장도 10년이상 되풀이돼 수해를 단순한 천재지변으로 돌리기에는 설득력이 없다. 더구나 서울의 이번 수해는 지난 87년의 수해를 겪은 지 3년 만에 닥친 것이어서 그동안 당국의 수해대책이 빈말에 지나지 않았음을 느끼게 하고 있다.
지난 83년 한강종합개발사업이 완공된 후에도 수도 서울이 수해의 위협에서 못벗어나고 있는 데 대해 관계자들은 엄청난 집중호우와 서울의 내수처리능력 부족으로 풀이하고 있다.
한강수계의 치수사업이 어느 정도 자리를 갖추고 있다고는 하나 워낙 엄청난 비가 쏟아진 데다 서울의 하수관과 유수지의 규모가 일시에 쏟아지는 내수량을 소화할 정도가 못돼 곳곳이 침수되고 교통이 막히는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한강수계에는 북한강의 ▲청평 ▲의암 ▲춘천 ▲소양강 ▲화천댐 등과 남한강의 ▲충주 ▲괴산 ▲팔당댐 등 모두 8개의 댐이 건설돼 있다.
한강인도교의 수위를 높이는 요인은 서울지역의 강수량보다는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곳에 건설된 팔당댐 상류지역의 강수량이 더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한강 상류에 8개 댐이 설치돼 있고 이중 소양강댐(저수용량 28억7천2백만㎥,용수조절용량 5억㎥) 화천댐(저수용량 10억1천8백40㎥,홍수조절용량 2억1천5백만㎥) 충주댐(저수용량 27억5천만㎥,홍수조절용량 6억㎥)등 3개의 다목적댐이 총 13억1천5백만㎥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과거 댐이 없을 경우에 비해 한강 하류에 전달되는 유량은 상당량 조절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폭우는 50년 만에 한번 있는 「강우 강도 50년」의 집중호우인 데다 11일 하오 3시 현재 한강수위가 범람수위인 13m에 1.5m의 여유밖에 없는 11.5m이며 서해안 만조로 한강이 하루 2차례 역류하는등 위험요소 때문에 이번 집중호우피해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또 이날 하오를 고비로 하류쪽의 강수량은 줄고 있으나 강원도등 상류에서는 비가 그치지 않고 있어 우려를 더해주고 있다. 그러나 관계자들은 한강종합개발사업에 따른 한강의 직강화와 준설공사가 한강의 범람을 막는 데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한강종합개발사업은 강바닥에 쌓인 6천6백48만6천㎥의 모래와 자갈등을 준설,수로폭을 7백25m∼1천1백75m로 넓혀 항상 2.5m의 수심을 유지토록 하는 등 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유수로에 의한 침식으로부터 저수로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44㎞의 호안공사도 했다. 이같은 하폭과 제방의 높이는 한강인도교의 수위가 13m,유량이 초당 3만7천㎥가 될 때에도 안전하도록 설계시공한 것이다.
그러나 이번처럼 시간당 50㎜이상의 집중호우가 내릴 경우 서울의 수방시설이 미흡,저지대를 비롯한 많은 지역에 대한 침수는 막을 수 없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배수펌프등 서울시의 각종 주요 수방시설은 20년에 한번 기록될 정도의 예상 최대강우량에 대비한 것이어서 이번과 같은 50년 빈도의 호우에는 속수무책이라는 주장이다.
게다가 하수도는 간선의 경우 10년 빈도 강우량인 시간당 70㎜,지선의 경우 5년 빈도의 57㎜의 강우량을 기준으로 건설되고 있어 집중호우시 처리용량이 부족할수밖에 없어 저지대에는 일시에 물이 차오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같은 처리용량은 1년에 여름철 며칠만 사용하기 위한 막대한 수방시설 투자는 비효율적이라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최근들어 수해가 자주 발생하자 서울시의 수방시설 기준이 낮게 책정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또 하수도보급률이 1백%에 가깝지만 충분한 경사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하수관내에 오물과 토사가 쌓여있는 것도 침수피해를 늘리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한편 재해대책본부가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는 것도 수해와 관련해 큰 문제로 꼽히고 있다.
재해대책본부의 기능이 수해발생상황을 집계,복구및 구조계획을 수립하는 데 역점이 있다고는 하지만 집계가 늦는 것이 상례.
지난해 7월15일부터 29일사이에 발생한 홍수때는 8월17일에 가서야 피해조사가 모두 끝나 열흘후인 23일에야 복구계획이 수립되었고 이 계획이 각 지방에 시달된 것은 홍수가 끝난 지 한달 만인 8월30일이었다.
각 지방에 계획이 시달돼 복구사업이 착수된 것은 9월13일에서 12월30일사이였다.
재해대책본부의 재해예방 기능을 전혀 기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피해상황조사조차 제때 하지 못하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정숭호기자>정숭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