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 과시로 경제ㆍ외교제재 철회유도 속셈【홍콩=유주석특파원】 북경의 계엄해제는 대서방 관계,특히 대미관계 개선을 겨냥한 하나의 제스처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10월 31일을 기해 이미 천안문 광장을 비롯한 북경 중심지역의 계엄군 병력을 전면 철수,인민무장 경찰로 대치시켰다.
사실상 이름뿐인 계엄속에서 지난해 11월 20일과 12월 28일 전국 인민대표대회(전인대)와 북경시 인민대표대회는 각각 계엄령과 다를바 없는 강력한 전국 및 북경시 일원 집회시위 금지법을 통과시킨바 있다.
이런 점에서 계엄해제는 북경의 안정회복을 대외에 과시ㆍ확신시키려는 상징적 조치에 불과하며 미 일등 서방 각국과 세계은행에 차관동결을 포함한 외교ㆍ경제제재의 조속한 해제를 촉구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당초 지난해 12월 말이전 계엄을 해제할 계획이었던 중국당국은 루마니아 사태 이후 북경대학등에 대자보가 붙고 시위의 조짐이 보이자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한뒤 분위기가 다소 누그러지자 계엄해제를 단행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중국당국의 조기 계엄해제는 미국이 자국의 경제적 이익과 함께 국제외교전략상 중국의 외교적 고립을 더이상 방치해서는 곤란한 것으로 판단,관계 회복을 서두른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작년 10,11월 닉슨,키신저 등 거물급 친중 인사들의 방중에 이어 12월 초순 스코크로프트 국가 안보보좌관이 부시 대통령의 특사로 북경을 비밀방문하면서 이런 기운은 뚜렷해졌다.
이 비밀방문은 미국내에서 거센 비판을 불러 일으켰으며 중국은 부시의 국내 입장을 고려,조기 계엄해제라는 선물을 통해 관계회복의 선수를 취하는 양보를 한것으로 보인다.
중국으로서도 6월 천안문 사건후 외교고립속에 서방의 차관동결과 이에 따른 경제난의 타개는 발등의 불이 됐고 오는 9월 북경 아시안게임을 계엄령하에서 치르기는 어려운 처지였다.
계엄의 조기 해제에 따라 곧이어 세계은행ㆍ일본 등의 차관 재개등 조치가 취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미 중관계의 장애가 되온 방여지 처리 문제도 타결될 공산이 커졌다.
방의 처리는 일단 북경의 미대사관에서 중국측에 그의 신병을 넘겼다가 적당한 시기가 지난후 스웨덴등 중국이 동의할수 있는 제3국행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타협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