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가야 가옥 궁금했는데… 김해서 집모양토기 출토

알림

가야 가옥 궁금했는데… 김해서 집모양토기 출토

입력
2019.01.09 17:54
0 0
김해 봉황동 유적에서 출토된 집모양토기의 앞면. 반원형 벽체에 네모난 출입구를 설치했다. 문화재청 제공
김해 봉황동 유적에서 출토된 집모양토기의 앞면. 반원형 벽체에 네모난 출입구를 설치했다. 문화재청 제공

금관가야 왕궁터로 추정되는 경남 김해 봉황동 유적에서 새로운 형태의 집모양토기가 출토됐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2015년부터 발굴조사 중인 금관가야 추정 왕궁지 김해 봉황동 유적에서 집모양토기와 말발걸이를 출토했다고 9일 밝혔다.

4세기 말~5세기 초 건물지 주변에서 발견된 집모양토기는 지금까지 알려진 삼국시대 집모양토기와 다른 형태로 이목이 집중된다.

평면 반원형 벽체를 가진 구조로 정면에는 네모꼴의 출입구가 설치돼 있다. 출입구는 여닫이문이 열려 있는 형태로, 출입구 아래 받침대가 놓여 있으며, 벽체 한쪽 면에는 원형의 환기창을 설치했다.

그동안 알려진 집모양토기는 대부분 기둥 위에 집을 만드는 고상식의 맞배지붕(추녀가 없고 용마루와 내림마루만으로 구성된 지붕) 구조였다. 반면 이번에 출토된 집모양토기는 벽체를 가진 지면식 구조로 지붕모양도 앞부분은 삿갓형, 뒷부분은 원형인 특이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삼국지의 ‘동이전’에는 삼한의 가옥을 “거처는 초가집과 흙방으로 짓는데, 모양이 무덤과 같으며, 그 문이 위에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번에 출토된 집모양토기가 이 문헌사료와 유사해 학계에서는 고대 가옥의 구조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판단하고 있다.

김해 봉황동 유적에서 출토된 말발걸이. 지금까지 밝혀진 적 없는 새로운 제작방식으로 이목을 끈다. 문화재청 제공
김해 봉황동 유적에서 출토된 말발걸이. 지금까지 밝혀진 적 없는 새로운 제작방식으로 이목을 끈다. 문화재청 제공
말발걸이 CR 촬영 사진의 전체 정면 모습. 고리 부분에서 접합부가 발견됐다. 문화재청 제공
말발걸이 CR 촬영 사진의 전체 정면 모습. 고리 부분에서 접합부가 발견됐다. 문화재청 제공

소성 유구(불을 사용한 흔적이 있는 시설) 주변에서는 철로 만든 말발걸이가 출토됐다. 이 유물은 지금까지 발견된 적 없는 새로운 방식으로 제작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의 CR(X레이 필름 방사선 사진을 디지털 방식으로 대체한 것) 장비로 촬영한 결과 말발걸이 고리 부분에서 접합부가 발견됐다.

일반적으로 삼국시대 말발걸이에는 고리 부분에 접합부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출토된 말발걸이는 고리를 둥근 형태로 연결하고 연결 부분에 각각 구멍을 뚫어 철심을 박는 리벳 접합 방식을 사용했다. 문화재청은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말발걸이 제작방식으로 마구 제작기술과 제작 방식 변천 과정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밝혔다.

이소라 기자 wtnsora21@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