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남태평양 '트럭섬'으로 끌려간 조선인 위안부 26명 첫 확인

알림

남태평양 '트럭섬'으로 끌려간 조선인 위안부 26명 첫 확인

입력
2017.12.11 14:01
0 0

서울시, 서울대인권센터와 승선명부·신문 기사 등 비교·검토

대구 거주 '하토가와 후쿠준', 故 이복순 할머니로 판명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 해군 함대 기지가 있던 남태평양 '트럭섬'(Chuuk Islands)으로 끌려간 조선인 위안부 26명의 명부와 사진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서울대인권센터 정진성 교수 연구팀과 함께 미군 전투일지, 호위함 '이키노'호의 승선명부, 사진 자료, 1946년 3월 뉴욕타임스 기사 등의 자료를 비교·검토한 끝에 이들 위안부 26명의 존재를 밝혀냈다고 11일 전했다. 서울시 제공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 해군 함대 기지가 있던 남태평양 '트럭섬'(Chuuk Islands)으로 끌려간 조선인 위안부 26명의 명부와 사진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서울대인권센터 정진성 교수 연구팀과 함께 미군 전투일지, 호위함 '이키노'호의 승선명부, 사진 자료, 1946년 3월 뉴욕타임스 기사 등의 자료를 비교·검토한 끝에 이들 위안부 26명의 존재를 밝혀냈다고 11일 전했다. 서울시 제공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 해군 함대 기지가 있던 남태평양 '트럭섬'(Chuuk Islands)으로 끌려간 조선인 위안부 26명의 명부와 사진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서울대인권센터 정진성 교수 연구팀과 함께 미군 전투일지, 호위함 '이키노'호의 승선명부, 사진 자료, 1946년 3월 뉴욕타임스 기사 등의 자료를 비교·검토한 끝에 이들 위안부 26명의 존재를 밝혀냈다고 11일 밝혔다.

시는 "그동안 증언으로만 있었던 트럭섬의 조선인 위안부가 실제로 존재했다는 것을 처음으로 공식 확인한 것"이라고 이번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트럭섬, 공식 명칭 '축(Chuuk) 제도'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을 구성하는 4개 주(州) 가운데 하나인 섬으로 태평양 남서쪽에 있다. 일본식 발음인 '토라크'를 접한 한국인들은 이곳을 '트럭섬'이라고 불러 왔다고 한다.

이번 연구는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의 자료를 발굴해 조사·분석해 이뤄졌다.

미군 전투일지에 따르면 당시 트럭섬에서 귀환한 1만4천298명 가운데 조선인은 3천483명이었다. 이 중 군인이 190명, 해군 노무자가 3천49명, 민간인이 244명으로 나타났다.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 해군 함대 기지가 있던 남태평양 '트럭섬'으로 끌려간 조선인 위안부 26명의 명부와 사진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서울대인권센터 정진성 교수 연구팀과 함께 미군 전투일지, 호위함 '이키노'호의 승선명부, 사진 자료, 1946년 3월 뉴욕타임스 기사 등의 자료를 비교·검토한 끝에 이들 위안부 26명의 존재를 밝혀냈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은 '집 한 채 산다'라는 말에 속아 3년간 필리핀에서 고초를 겪은 고(故) 하복향 할머니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 해군 함대 기지가 있던 남태평양 '트럭섬'으로 끌려간 조선인 위안부 26명의 명부와 사진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서울대인권센터 정진성 교수 연구팀과 함께 미군 전투일지, 호위함 '이키노'호의 승선명부, 사진 자료, 1946년 3월 뉴욕타임스 기사 등의 자료를 비교·검토한 끝에 이들 위안부 26명의 존재를 밝혀냈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은 '집 한 채 산다'라는 말에 속아 3년간 필리핀에서 고초를 겪은 고(故) 하복향 할머니

조선인들은 트럭섬 환초 '드블론'이라는 곳에서 1946년 1월 17일 호위함 '이키노'호를 타고 일본을 거쳐 고향 땅으로 돌아왔다. 이 배에는 조선인 위안부 26명과 아이 3명이 타고 있던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1946년 3월 2일 자 '트럭의 일본인들은 포로가 아니다'라는 제하의 뉴욕타임스 기사는 당시 상황을 구체적으로 그리고 있다.

기사는 "트럭섬 사령관인 해병 준장 로버트 블레이크에 의해 조선인과 27명의 조선인 위안부(Comfort Girls)들이 보내졌다"며 "블레이크 장군에 따르면 이 여성들은 남아서 미국인을 위해 일하기를 원했다. 그들은 다른 조선인들이 일본군에게 협조했다는 이유로 자신들을 바다에 빠뜨릴 것이라고 두려워했는데, 하지만 블레이크 장군은 그러한 일을 듣지 못했다"고 묘사했다.

연구팀은 이 기사가 위안부를 27명이라고 적은 것은 아이 3명 가운데 1명을 위안부로 분류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키노호 승선명부를 보면 승객 368명 가운데 조선인 249명, 여성과 아이 29명이 확인된다. 여성 26명과 아이 3명의 이름·직업·주소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여성은 '노동자', 아이는 '무직'으로 돼 있다.

시는 "다른 문서와 비교를 통해 이 여성들이 일본군 위안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 위안부 피해자 26명은 창씨개명된 일본식 이름으로 적혀 있어서 신원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따랐다.

연구팀은 이 가운데 '하토가와 후쿠준'이라는 인물이 정부에 위안부 피해자로 등록돼 있는 고(故) 이복순 할머니라는 점을 판명해냈다.

이복순 할머니는 생전 구술자료를 남기지 않고, 1993년 12월 정부에 피해를 신고했을 때에도 간략한 피해 내용만 남겨 삶이 베일에 싸여 있었다.

연구팀이 생전 이복순 할머니와 가깝게 지낸 대구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이인순 관장에게 트럭섬 위안부 사진을 보여주자, 할머니를 단번에 알아봤다고 한다. 며칠 뒤 할머니의 아들도 이 사진이 자신의 어머니가 틀림없다고 확인했다.

한발 더 나아가 서울, 경북 안동, 대구의 공무원들이 자료를 뒤진 결과 하토가와 후쿠준이 할머니의 창씨명이 맞고, 주소지도 예전에 그가 살던 곳과 일치한다는 점을 밝혀냈다.

시는 "할머니의 남편 호적이 있는 경북 안동시 길안면사무소 계장은 한자를 하나하나 확인하며 온종일 제적등본을 뒤져 해당 자료를 찾아줬다"고 관계자의 노고를 전했다.

이 같은 자료를 종합해보면 이복순 할머니는 1943년 트럭섬에 끌려가 위안부가 됐다. 일본 패전 후 그를 포함한 위안부 피해자 26명은 1946년 1월 17일 호위함 이키노호를 타고 일본 가나가와 현 요코스카시 우라가 항으로 갔다.

이 할머니는 이후 도쿄로 갔다가 규슈 후쿠오카 현 하카타 항에서 부산행 배를 타고 고국으로 돌아왔다.

이번에 드러난 일본군 위안부 26명 가운데 이복순 할머니를 뺀 나머지 25명의 구체적인 신원은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 시 관계자는 "나머지 할머니들의 신원도 추후 연구를 통해 밝혀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 해군 함대 기지가 있던 남태평양 '트럭섬'으로 끌려간 조선인 위안부 26명의 명부와 사진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서울대인권센터 정진성 교수 연구팀과 함께 미군 전투일지, 호위함 '이키노'호의 승선명부, 사진 자료, 1946년 3월 뉴욕타임스 기사 등의 자료를 비교·검토한 끝에 이들 위안부 26명의 존재를 밝혀냈다고 11일 밝혔다. 서울시 제공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 해군 함대 기지가 있던 남태평양 '트럭섬'으로 끌려간 조선인 위안부 26명의 명부와 사진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서울대인권센터 정진성 교수 연구팀과 함께 미군 전투일지, 호위함 '이키노'호의 승선명부, 사진 자료, 1946년 3월 뉴욕타임스 기사 등의 자료를 비교·검토한 끝에 이들 위안부 26명의 존재를 밝혀냈다고 11일 밝혔다. 서울시 제공

시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이날 오후 1시 30분 서울시청 신청사 3층 소회의실에서 열리는 '서울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관리사업 성과보고회'에서 발표한다.

또 지난해부터 2년간 발굴·축적한 일본군 위안부 사료를 바탕으로 내년 1월 '문서와 사진, 증언으로 보는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 1·2권을 출간한다. 내년 2월에는 '일본군 위안부 자료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한국·중국·일본의 전문가와 단체를 초청해 성과를 공유할 계획이다.연합뉴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