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한 학기 미룬다고 취업 되나요" 대학가 졸업유예제 ‘시들’

알림

"한 학기 미룬다고 취업 되나요" 대학가 졸업유예제 ‘시들’

입력
2017.02.19 12:58
0 0

2년여 전후로 감소세 전환…80% 이상 급감하기도

연합뉴스
연합뉴스

극심한 취업난이 이어지면서 졸업 유예는 대학가의 새로운 풍속도였다.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지만, 취업하려면 졸업생보다 재학생이라는 타이틀이 더 낫다고 봤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졸업유예가 취업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최근 들어 분위기가 급격히 바뀌고 있다.

19일 전북대에 따르면 2014년 946명이었던 학부 졸업 유예 신청자는 2015년 888명, 지난해 575명으로 매년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전주대도 매년 증가세를 보이던 졸업 유예 신청자가 2014년 854명을 기점으로 하락세로 돌아서 2015년 834명, 지난해 649명을 나타냈다. 우석대 역시 2015년 284명에서 작년 171명, 올해 1학기 89명 등으로 확연한 감소세를 보인다.

졸업 유예제는 학칙에 따른 졸업요건을 충족했지만 대학에 일정 기간 졸업 연기를 신청해 승인을 받는 제도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취업난이 심해지면서 2010년을 전후해 대학생들 사이에 급격히 확산했다.

진주 경상대도 졸업 유예자가 2013년 306명, 2014년 658명, 2015년 829명으로 매년 증가했지만 지난해 701명으로 감소했다.

부산의 한 주요 대학도 졸업유예자가 2012년 1,134명, 2014년 1,576명으로 늘어났으나 2015년 1,296명으로 줄었고 작년에는 944명으로 급감했다. 부산의 또 다른 대학은 2014년 791명에서 2015년 107명으로 무려 80% 이상 줄며 졸업유예제가 유명무실해졌다.

실제 대전의 한 대학은 졸업유예를 신청하는 학생이 거의 없어 2015년부터 이 제도를 중단하고 있다. 이런 경향은 학생들이 '비용 대비 효과'를 확신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학교에 따라 편차가 있지만, 졸업을 유예한 학생들은 대부분 수십만원의 등록금을 내고 의무적으로 일정 학점 이상을 들어야 한다. 사실상 '백수'인 대학생들 입장에서는 만만치 않은 부담이다.

그러나 대부분 기업이 학교에 적을 두고 있는 재학생이라고 해서 채용 과정에서 가점을 주거나, 반대로 졸업생이라고 해서 점수를 깎는 일은 없다고 한다.

더구나 성적표 등을 보면 단순히 졸업을 미루고 있을 뿐이라는 사실이 명확히 드러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전북대 관계자는 "채용박람회 등에 참여하는 기업마다 졸업유예자에 대한 특혜는 없다고 누차 설명하면서 학생들의 인식이 많이 바뀌고 있다"며 "정상적으로 졸업하고 취업 준비에 전념하는 것이 낫다는 생각이 확산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은근히 졸업 유예를 유도했던 대학들의 정책이 바뀌고 있는 것도 한 이유로 분석된다.

교육부가 그동안 학교 평가의 주요 지표였던 '재학생 충원율'에 대한 배점을 낮추면서 굳이 학생을 잡아둘 필요가 없어졌다는 것이다.

수강신청만 하고 강의에 제대로 참여하지 않으면서 수업 분위기를 해친다는 불만이 제기되는 것도 대학으로서는 신경 쓰이는 대목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공무원과 공기업에 관심이 많은 지방대를 중심으로 졸업 유예제가 급격히 시들해지는 것으로 안다"며 "학생들 입장에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굳이 할 이유가 없는 상황 아니냐"고 말했다.

연합뉴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