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실제 생활인구 정확히 추정... 행정수요 예측”

알림

“실제 생활인구 정확히 추정... 행정수요 예측”

입력
2018.06.20 04:40
수정
2018.06.20 11:15
12면
0 0
# 휴대폰 하루 300건 신호 이용 주민등록인구와 활동인구 차 구해 업무ㆍ관광ㆍ쇼핑 등 수요유발 찾아 # 지하철ㆍ버스 등 대중교통 운행과 복지시설 입지까지 쓸모 무궁무진 市, 조정교부금 결정에 활용 검토
시민들과 요우커로 인산인해를 이룬 서울 명동거리. 신상순 선임기자
시민들과 요우커로 인산인해를 이룬 서울 명동거리. 신상순 선임기자

“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의 차이 잡아낸다” 활용가능성 무궁무진한 생활인구 데이터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인 중구 명동의 주민등록 인구는 지난달 기준 3,432명이다. 말 그대로 명동에 전입신고를 한 뒤 거주하고 있는 인구를 뜻한다. 하지만 이 수치는 평소 서울시민이 목격한 유동인구와 비교해보면 괴리가 크다. 오후 시간대 명동은 자영업 등 경제활동인구와 관광객 등으로 발 디딜 틈이 없다. 실제로 이달 14일 0시 기준 명동 일대에 머문 시민은 8,439명으로 집계됐다. 오전6시 시민 1만4,634명이 몰리기 시작해 오후2시에는 10만3,227명이 운집했다. 오후 11시 1만3,866명으로 인구집계가 끝날 때까지 명동 일대를 찾은 시민의 수는 단 한 번도 주민등록인구보다 적은 적이 없었다.

이처럼 행정부처가 집계한 특정 지역의 인구수는 실제 해당 지역의 활동인구와 큰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서울시와 각 자치구는 행정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워 종종 행정공백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같은 맹점을 보완하기 위해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KT와 손잡고 ‘생활인구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생활인구란 ‘특정 시점’ ‘특정지역’에 존재하는 모든 인구를 뜻하는 것으로, 서울에 거주하거나 업무, 관광, 의료, 교육, 쇼핑 등 일시적으로 서울을 찾아 행정수요를 유발하는 모든 인구를 잡아낼 수 있다. 서울시 보유 공공빅데이터와 KT 휴대폰 LTE시그널 데이터를 이용해 1시간 단위로 집계를 낸다. LTE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하루 평균300건, 한 달 평균 8,640건에 이르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정교한 통계치를 얻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올해 3월 나온 첫 분석자료에서 생활인구 데이터와 주민등록인구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났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해 10~12월 서울을 매일 오간 생활인구는 평균 1,151만명으로 지난해 말 조사한 주민등록인구 1,013만명 보다 138만명이 더 많았다”며 “내국인은 1,090만 명, 외국인은 62만명이었고, 심지어 관광이나 비즈니스 목적의 90일 이하 단기 체류 외국인이 20만여명이라는 것까지 잡아냈다”고 밝혔다. 생활인구데이터는 이 외에도 연령별ㆍ성별 이동경로까지 추적이 가능하다.

아직 걸음마 단계라 현재 실제 행정에는 반영되고 있지 않지만, 생활인구데이터는 향후 행정공백을 메워줄 ‘로우 데이터’로서 활용도가 무궁무진하다. 시 관계자는 “출퇴근이나 통학을 위해 경기지역에서 서울시로 유입되는 인구를 분석해 지하철ㆍ버스 등 대중교통 배차간격, 인프라 등을 조정하거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의 이동경로를 파악해 노인 복지시설 입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예를 들면 서울 외 지역에서 살면서 출근이나 통학을 이유로 서울에서 생활하는 사람은 최대 165만명이었고, 경기도가 78.6%, 인천이 10.5% 등으로 집계됐는데 이 같은 유동인구 통계를 토대로 광역버스나 심야버스(올빼미버스)의 노선, 배차 간격 등을 조정할 수 있다는 의미다.

당장 생활인구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시는 지난달 조정교부금 결정 항목에 생활인구 데이터를 활용할지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외부 용역을 맡겨둔 상태다.

김태균 시 정보기획관은 “생활인구 데이터는 특정 지역의 인구가 감소했다고 해서 반드시 행정수요까지 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며 “앞으로 이를 국가적으로 활용해 행정조직, 공무원 수 등 행정력의 기준을 정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주희 기자 jxp938@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