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기억할 오늘] 부마항쟁(10.16)

입력
2017.10.16 04:40
30면
0 0
부마항쟁 당시 시위모습.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제공. 자료사진
부마항쟁 당시 시위모습.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제공. 자료사진

1979년 10월 16일 부산ㆍ마산 시민항쟁(부마항쟁)이 시작됐다. 부산대 교내집회로 시작된 시위는 저녁 무렵 부산 중심가로 번지면서 지역 대학은 물론 시민과 상인, 고교생까지 가세했고, 18일부터는 인근 마산(현 창원)지역으로 확산돼 수출자유지역 노동자들도 시위에 동참했다. 유신 정권은 18일 자정 계엄령과 함께 군을 투입했고, 20일 정오 위수령을 발령했다. 공수부대 2개 여단과 해병대 1개 연대가 계엄군으로 투입됐다. 시민 학생 1,563명이 연행돼 그 중 87명(학생 37명)이 군법회의에 회부됐고, 20명이 실형을 선고 받았다.

당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가 현장을 시찰한 게 19일이었다. “제가 내려가기 전까지는 남민전(남조선민족해방전선)이나 학생이 주축이 된 데모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현지에서 보니까 그게 아닙니다. 160명을 연행했는데 16명이 학생이고 나머지는 다 일반 시민입니다. (…) 데모하는 사람들도 사람들이지만 그들에게 주먹밥을 주고 또 사이다나 콜라를 갖다 주고 경찰에 밀리면 자기 집에 숨겨주고 하는 것이 데모하는 사람과 시민들이 완전히 의기투합한 사태입니다.”

10ㆍ26 재판에서 전 중앙정보부장 김재규는 대통령 박정희 저격 결심의 주요 계기로 ‘부마 항쟁’을 대며 저렇게 증언했고, 항소이유보충서에는 “부마사태는 민란의 형태였다”고 썼다. 민심 수습책을 내놓지 않으면 저 사태가 서울 등 전국 대도시로 확산될 것이라고 보고하자 박정희가 역정을 내며 “(비슷한 일이 생기면) 내가 직접 발포 명령을 내리겠다”고 했고, 차지철 경호실장은 캄보디아를 운운하며 “데모 대원 100만~200만 명 정도 죽인다고 까딱 있겠습니까”라고 했다고도 썼다.

70년대 말 유신 치하 한국 경제도 정치ㆍ인권 현실에 버금가게 참담했다. 만성적인 부실 투자와 잇단 석유파동으로 성장 동력을 잃어갔고, 물가는 두 자릿수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불황 속에 부동산 투기가 본격화했고, 저임금과 대표적 간접세인 부가가치세(1977년) 도입으로 민심은 바닥으로 추락했다. YH무역 농성과 신민당 당수 김영삼의 제명이 부마항쟁 직전의 일이었다. 부마항쟁과 6일 뒤의 박정희 피격으로 유신정권이 끝장 났다. 최윤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