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경영권 진흙탕 싸움' 롯데, 핵심 사업차질 우려

알림

'경영권 진흙탕 싸움' 롯데, 핵심 사업차질 우려

입력
2015.08.04 14:25
0 0

11월 소공동 면세점 재승인·카지노 리조트 입찰 '불안'

브랜드 이미지 큰 타격…일주일새 시가총액 5800억 날아가

서울 명동 롯데그룹 본사 입구. 연합뉴스
서울 명동 롯데그룹 본사 입구. 연합뉴스

롯데그룹의 경영권 분쟁이 이전투구 양상으로 흐르고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그룹이 추진중인 핵심 사업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이 같은 혼란상황이 이어질 경우 연말로 예정된 롯데면세점 소공점과 잠실점 재입찰, 카지노 복합리조트 입찰 심사에서도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실상 일본 기업이 아니냐는 정체성 논란까지 일면서 롯데그룹의 브랜드 가치가 상당한 손상을 입었다는 점도 이번 사태의 악영향으로 거론되고 있다.

4일 재계에 따르면 롯데그룹이 2013년부터 추진하던 롯데정보통신의 기업공개가 사실상 미뤄졌다.

롯데정보통신 상장을 주관하고 있는 KDB대우증권은 예비심사를 바로 청구할 수 있도록 준비를 마친 상태이지만 롯데그룹의 결정이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정보통신은 복잡한 지분구조를 갖고 있는 만큼 기업공개에 나서려면 총수일가의 합의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롯데정보통신 지분은 롯데리아(34.5%) 등 6개 회사가 보유하고 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7.5%),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4%), 신영자 롯데복지재단 이사장(3.5%) 등 오너 일가도 나눠갖고 있다.

따라서 그룹 경영권 후계자리를 놓고 '신동빈' 대 '반(反) 신동빈' 구도로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만큼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은 거의 없어 기업공개는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롯데리아, 코리아세븐 등 상장이 검토되고 있는 계열사의 기업공개도 무기 연기될 전망이다.

경영권 분쟁은 롯데그룹의 M&A(인수·합병)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신동빈 회장이 신동주 전 부회장으로부터 공격당한 원인이 중국사업 부진인 만큼 그동안 왕성했던 롯데그룹의 공격적인 해외기업 M&A가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롯데가 추진한 주요 사업은 유통 분야의 옴니채널(온·오프라인과 모바일을 융합한 유통 서비스)사업과 중국·인도·베트남·러시아 등의 유통기업 M&A, 동남아 등지의 면세점 사업 확장 등이다.

특히 12월 특허가 만료될 롯데면세점 서울 소공점·월드타워점도 이번 롯데판 '왕자의 난'으로 관세청 심사에서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지금까지 면세점 재승인은 큰 하자가 없을 경우에는 대부분 그대로 이뤄져왔지만 상황이 달라진 것이다. 이 때문에 롯데면세점은 지난달 서울시내 추가 면세점 입찰에서 고배를 마신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 등과 치열한 경쟁을 벌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관세청은 9월 25일까지 특허 신청을 마감하고 11월 중 특허 사업자를 선정한다.

민관으로 구성된 심사단이 입찰 기업을 대상으로 평가해 점수를 매겨 사업자를 뽑게 된다.

이번 롯데판 '왕자의 난'으로 인해 롯데가 총수 일가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은 만큼 심사에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롯데백화점 소공점 9∼11층에 자리 잡은 롯데면세점 소공점은 작년 매출이 1조9,763억원으로 서울시내 6개 면세점의 지난해 총매출액인 4조3,502억원의 45.4%를 차지했다. 말 그대로 노른자위다.

특히 지난달 서울시내 대기업 면세점 입찰에서 고배를 마신 신세계와 현대백화점이 심기일전하고 2차 면세점 대전에 출사표를 던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번 경영권 분쟁을 겪고 있는 롯데그룹으로서는 힘겨운 싸움이 예상된다.

롯데그룹이 부산 북항에서 추진하고 있는 신규 카지노 복합리조트 사업도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황금알을 낳는 외국인 전용 카지노사업을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이 역시 오너리스크 탓에 역풍을 맞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롯데그룹은 롯데자산개발·롯데호텔·롯데건설로 컨소시엄을 짜고 말레이시아의 카지노기업 겐팅그룹과 협력해 부산 북항 재개발지구에 외국인 전용 카지노, 호텔,면세점, 수상레저시설 등을 포함한 복합리조트를 개발할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연말께 신규 사업자 2곳을 선정할 계획인데 코오롱, 롯데,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관광공사 산하 GKL(그랜드코리아레저), 여수경도레저관광주식회사, 홍콩의 임피리얼퍼시픽인터내셔널홀딩스 등 34곳이 입찰을 낸 상태다.

무엇보다 이번 사태로 인해 롯데그룹이 한국이 아닌 일본 기업의 이미지로 인식되면서 브랜드 가치가 떨어지고 있는 점도 큰 피해중 하나이다.

이에따라 롯데그룹 상장계열사 대부분의 주가도 하락하면서 시가총액 5,800억원이 날아갔다. 이는 경영권 분쟁이 촉발된 지난달 28일 대비 3일 현재 종가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특히 롯데케미칼의 경우에는 12% 폭락하면서 롯데그룹 상장계열사 8곳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재계 관계자는 "이번 롯데의 오너리스크 탓에 계열사의 기업공개를 비롯해 인수·합병, 면세점 재심사 등 핵심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그룹 전체의 경영이 사실상 '올 스톱' 됐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