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언론단체 "대통령 7시간, 언론은 반드시 밝히라"

알림

언론단체 "대통령 7시간, 언론은 반드시 밝히라"

입력
2016.11.03 17:30
0 0
언론시민단체로 구성된 비상시국대책회의 관계자들이 3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시민이 제안하는 최순실 국정농단 10대 의제’를 발표하고 있다. 전국언론노조 제공
언론시민단체로 구성된 비상시국대책회의 관계자들이 3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시민이 제안하는 최순실 국정농단 10대 의제’를 발표하고 있다. 전국언론노조 제공

이른바 ‘최순실 게이트’가 모든 뉴스를 뒤덮고 있다지만 시민들은 여전히 의문투성이다. 온갖 의혹이 단독 또는 특종이란 이름으로 넘쳐나는 상황에서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우리는 무엇을 믿어야 하냐’는 의문을 제기한다. 무분별한 특종 경쟁에 이어 흉흉한 음모론까지 뉴스가 되는 현 국면을 타개를 위해 언론시민단체들이 ‘알 권리’를 위한 언론의 제 역할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과 한국기자협회, 자유언론실천재단 등 언론시민단체로 구성된 언론단체비상시국대책회의(비상시국대책회의)는 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박근혜ㆍ최순실 게이트, 이것이 알고 싶다’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이 제안하는 ‘최순실 국정농단 10대 의제’를 발표했다. 비상시국대책회의는 최순실(최서원으로 개명) 일가 및 측근의 불필요한 사생활 보도, 검찰 브리핑만 받아쓰는 보도, 정치권의 수습방안만 좇는 보도 행태를 우려하며 최순실 게이트의 핵심 사안 10가지에 대한 충분한 탐사보도가 이뤄져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비상시국대책회의가 제시한 10가지 의제는 ▦세월호 참사 당일 7시간, 대통령은 무엇을 했는가 ▦외교 사안에서 대통령은 어디까지 최순실에 의존했는가 ▦돌발적인 대북정책은 최순실의 영향인가 ▦대기업은 최순실과의 거래에서 무엇을 얻었는가 ▦최순실과 차은택이 사유화한 문화 행정의 끝은 어디인가 ▦이화여대 정유라 특혜의 배경은 무엇인가 ▦대통령은 최순실의 공직 인사개입을 어디까지 허용했는가 ▦공영방송은 최순실 인사 전횡에서 자유로웠는가 ▦최순실과의 관계에 침묵하는 자 누구인가 ▦검찰을 과연 믿을 수 있는가이다.

국정농단의 중심 인물로 여겨지는 최순실(오른쪽)씨가 3일 영장실질심사를 위해 서울중앙지법으로 들어서고 있다. 홍인기기자 hongik@hankookilbo.com
국정농단의 중심 인물로 여겨지는 최순실(오른쪽)씨가 3일 영장실질심사를 위해 서울중앙지법으로 들어서고 있다. 홍인기기자 hongik@hankookilbo.com

특히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일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에 대한 진상규명이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예은아빠’ 유경근 4.16 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은 “며칠 전 우연히 본 뉴스에 ‘최순실 문제로 소비심리 사상 최대 위축’이란 자막이 뜨더라. 보는 순간 고개를 돌려버렸다”며 “세월호 참사 때문에 가게 장사가 안 된다는 말을 들었던 아픈 경험이 되살아나 기가 막혔다”고 호소했다. 유 위원장은 “(세월호 참사를 겪으며) 언론의 영향력이 세다는 걸 알았기 때문에 그동안 (유가족들이) 언론을 비판도 해온 것”이라며 “세월호와 현 국정파괴 사태가 연결돼 있다는 의혹이 낱낱이 밝혀져야 한다”고 언론의 적극적인 취재를 당부했다.

최순실씨와 측근들이 현 정부의 문화체육 정책과 인사에 깊숙이 개입한 정황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최준영 문화연대 사무처장은 최씨가 평창동계올림픽 준비과정에도 개입한 정황을 두고 “올림픽에 대한 찬양일색의 기사만 쏟아냈지 정작 체육ㆍ관광 정책에 대한 언론의 감시가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라면서 “무려 삼수나 한 평창올림픽을 둘러싼 문제들을 지금까지 국민들에게 전한 언론이 없었다는 건 정말 슬픈 일이다. 속된 말로 ‘해 먹기 좋은’ 환경을 우리 스스로 만든 꼴”이라고 말했다.

사건의 본질을 흐리는 흥미성 보도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김환균 언론노조위원장은 “최근 MBC가 (청와대 문건이 저장된 것으로 알려진)태블릿 PC의 입수 경로를 두고 사망한 사람(고 이춘상 전 보좌관)을 불러 들이는 일까지 발생했다”며 “언론의 이른바 ‘물타기’ 보도를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궁극적인 책임은 박 대통령에게 있다는 본질을 놓쳐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조아름기자 archo1206@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